학술논문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플립러닝을 접목한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Case Study of Teaching Methodologies of Korean Culture Class Using Flipped and Project-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금숙(Gumsu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1권 제1호,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플립러닝을 접목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 및 보완점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업 모형을 구상하고 이를 적용한 한국문화교육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전반적으로는 수강생들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수업 자료 개발과 모의수업’이라는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가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식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습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영상이나 자료를 미리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토론이나 과제를 수행하는 플립러닝 방식을 접목하였다. 그 결과 이전 학기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대체로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고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소통도 더 활발해졌다. 학생들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단계별로 진행하여 결과물을 완성해 보는 경험을 통해 한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을 기르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꼼꼼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결과물의 질을 높이는 효과도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ing Methodologies of Korean Culture class that applied a teach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in addition to project-based learning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and complementary points. A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Teaching Methodologies of Korean Culture class. The class focused on a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which students completed a project call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Class Materials and Mock Class for Foreign Learners”. A flipp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in which videos or materials were provided in advance for areas requiring learning, and based on these, discussions or assignments were conducted in the classroom. Consequently,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emester's class. Students participated selfdirectedly in class and became more active. Further, it helped students develop their capabilities as Korean language teachers by planning their own projects, proceeding step-by-step, and completing them. Moreover, providing detailed feedback during the project improved the quality of the result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플립러닝
3.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모형 설계
4.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탈리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연구
- 조선어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 연구 - 김일성종합대학 출판 <조선어>(2022)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플립러닝을 접목한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중심의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번역사에 대한 시점(始點) 연구 - 사회 조직이론의 시점(視點)을 통한 시점(時點)의 논의
- 공손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적 요인의 질적 분석
- Linguistic Environment of Non-Korean Parentswith Children in South Korean Bicultural Famili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