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pprehension and Strategy Use in Writing Two Types of Genres in a College EFL Context
이용수 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Ho Ha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제30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that EFL students worry about most and the strategies they predominantly rely on when writing two distinct genres. It also examines whether their apprehension and strategies differ between the two genres. Regarding these issues, I conducted two questionnaire-based studies. A total of 28 students in an EFL writing course participated in composing two essays representing different writing genres: Expository Writing (EW) and Narrative Writing (NW). After completing each activity, they responded to survey questionnaires addressing their EFL writing apprehension as well as their use of writing strategies. In terms of writing apprehen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Fear of Evaluation’ receive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apprehension for both EW and NW,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two genres except ‘Negative Perception of Writing’. For the use of strategies, ‘Evaluating Product’ wa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among the three metacognitive strategies, while ‘Comprehending Processes’ was the most employed of the two cognitive strategies. Furthermore, I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ategy use between EW and NW. I contend that EFL teachers should focus on reducing students' fear of evaluation and incorporate strategy-based writing instruction to enhance student’s writing skills.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RESEARCH DESIGN
IV. FINDING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PEDAGOGICAL IMPLICAT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어문교육 제30권 제3호 목차
- 중학생과 대학생 예비영어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비교
- Apprehension and Strategy Use in Writing Two Types of Genres in a College EFL Context
- English Poetry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 Pedagogical Strategies and Benefits
- Korean English Textbooks and the Curricular Goal of Cultiva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학교 영어 수업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가능성 고찰: 인공지능 챗봇과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 한국 대학생의 온라인 영어 학습만족도 및 학습전략 사용 양상
- 교양영어수업에서 영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PBL 수업사례 및 효과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