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휴머니즘과 수학교육에 대한 단상
이용수 33
- 영문명
- A Commentary on Posthumanism and Mathematics Education
- 발행기관
- 수학교육철학연구회
- 저자명
- 조진우(Jinwoo Ch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철학연구』6권 2호, 67~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공학 분야의 급격한 발달에 의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수학교육의 철학적 토대를 탐색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에 부여된 특권을 해체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이분법적 구도를 행위자성을 바탕으로 재구조화한다는 점에서 휴머니즘과 구분된다.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논의는 철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폭넓게 다루어지기 시작한 반면, 수학교육연구에서는 소수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포스트휴머니즘을 개관하고, 몇 가지 사례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으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can ar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recent rapid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Posthumanism is distinguished from humanism in that it deconstructs the privileging of human beings and restructures the dichotomy of human and non-human in terms of agency. While posthumanism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the fields of philosophy and education, its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a handful of scholars.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ain arguments and concepts of posthumanism and explores their applicability to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several examples.
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휴머니즘
Ⅲ. 수학교육에서의 몇 가지 사례들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