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新中国成立后山东省农村扫盲运动探究(1949—1959 年)
이용수 6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Rural Literacy Campaign in Shandong Province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1959)
- 발행기관
- YIXIN 출판사
- 저자명
- Cong Guo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China Studies』제2권 제8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e early days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order to better enlighten the people and pool their strengths to devote themselves to national construction, a massive literacy campaign was launched from 1949 to 1959 under the call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In Shandong Province, out of the practical need to build the politics and economy of the province, especially in rural areas, and in response to the earnest aspirations of the broad masses of the people who longed to be “liberated”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rovincial Party committee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basic links such as the organization, team, content, and propaganda construction of literacy campaigns were coordinated, and the literacy campaign was rapidly launched across the rural areas of the province. By the end of the 1950s, remarkable achievements had been made in the literacy campaign in rural areas of Shandong Province. While improving their personal cultural literacy, the broad masses of peasants strengthened their political identity with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promote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to a certain extent.
영문 초록
新中国成立初期,为更好地启发民智、汇聚民力以投入国家建设,在党和政府的号召下,于1949—1959 年开展了声势浩大的扫盲运动。山东省出于建设全省特别是农村地区政治、经济的现实需要和回应广大人民渴望“翻身”又“翻心”的殷切诉求,在省委、省政府的领导下,统筹扫盲组织、队伍、内容和宣传建设等基本环节,于全省农村范围内迅速展开扫盲运动。到20 世纪50 年代末,山东省农村地区的扫盲运动取得了显著成效,广大农民群众在提升个人文化素养的同时,强化了对中国共产党的政治认同,并在一定程度上促进了农业生产的发展和技术的进步。
목차
Ⅰ. 引言
Ⅱ. 蓄势待发:山东省农村地区开展扫盲运动的原因
Ⅲ. 声势浩大:山东省农村地区开展扫盲运动的举措
Ⅳ. 卓有成效:山东省农村地区开展扫盲运动的效用
Ⅴ. 结语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