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여가활동에서의 여가강박, 재미 및 여가만족의 관계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Fun on Leisure Obsess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Irregular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박지윤(Ji-Yoon Park) 이철원(Chul-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5권 제3호, 81~9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에서 노동자의 삶 중 워라밸은 중요하다.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에서 여가향유는 삶의 질에 중요한역할을 차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여가강박, 재미, 그리고 여가만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유효 표본 총 285부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편의표본추출법과 자기평가기입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와 AMOS를 통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강박은 재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는 여가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강박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만족스러운 여가 참여를 위해서는 여가 참여에서 여가강박을 최소화하고, 재미를 높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개인의 인식 전환, 조직의 배려, 정부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Work-life balance is important in the lives of workers in modern society. In particular, leisure enjoy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quality of life of irregular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isure obsession, fu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irregular workers. This study selected irregular workers as the population and collected a total of 285 valid sample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self-assessment methods.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to process the data, frequency and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obs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un. Second, fu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rd, leisure obsess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irregular workers to participate satisfactorily in leisure activities, they need to minimize leisure obsession and enhance fun. To achieve this, a shift in individual perceptions, organizational consideration, and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re necessary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문화, 소유에서 접속의 시대로의 변화
- 탁구동호인의 긍정심리자본을 통한 건강지각과 행복감의 관계
- 주기화 훈련 프로그램의 복합 적용이 경륜 경주력향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대처 정도에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
- 여자축구선수의 은퇴진로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ICT 기반 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참여경험, 지각된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선수들의 긍정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에 관한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의 e-헬스리터러시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5권 제3호 목차
- MZ세대 골프참여자의 감성적 소비가치, 상대적 박탈감, 과시적 소비성향 및 골프만족의 관계
- 비정규직 노동자의 여가활동에서의 여가강박, 재미 및 여가만족의 관계
- 중·고등학교 태권도선수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실패공포와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ICT 기반 스포츠 기기 수용을 통한 운동참여 연구동향 분석: 심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수상레저스포츠 앱 사용의도 분석
- 12주간 실버태권도 프로그램 수행이 과체중 여성노인의 SFT, 폐기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 교양체육의 연구동향 및 발전방향 모색
- 델파이 기법(Delphi)을 통한 KBO 코치아카데미 과정 개선방안 도출
- 대학생의 여가스포츠 참여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분석
- 서핑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소셜미디어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Periodising Cold Water Immersion in Team Sports: Maximising Recovery and Adaptation
- Physical Activity Vol. 3 No. 1 Table of Contents
- Role of Biological Sex in the Onset of Muscle Atrop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