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소진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요구분석

이용수  156

영문명
An Analysis of Teacher Needs for Burnout Prevention and Recovery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아람(A-ram Kim) 인효연(Hyoyeon I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9권 1호, 23~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소진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초·중등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충남 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사 총 4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집단별로 Borich 요구도 분석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권위 상실 및 교권침해’와 ‘학생의 불성실한 수업·생활 태도’가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소진 예방 및 회복을 위해 개선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행정 업무과다’, ‘학생의 정서적 어려움’, ‘학부모의 민원이나 비협조적인 태도’, ‘수업시수 부담’ 등이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에 해당했으나 순위에 대해서는 학교급 간 차이가 있었다. 초등교사는 ‘학생의 정서적 어려움’, 중등교사는 ‘행정 업무 과다’에 대한 우선순위가 3순위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업무)에 대한 전문성 부족’, ‘자신의 정서 조절 어려움’의 개인적 요인은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집단에서 모두 낮은 수준의 요구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초·중등 교사의 소진 예방과 회복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ee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preventing and recovering from burnout. A total of 41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respons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eparat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ss of teacher authority an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students' negative attitudes in class” were identified as top priorities for burnout prevention and recovery among both group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dditionally,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students' emotional difficulties,” “parental complaints or uncooperative attitudes,” and “teaching load” were recognized as high-priority areas, although their order of priority varied between school levels. Specifical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nked “students' emotional difficulties” as the third priority, while secondary school teachers ranked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as the third priority. Conversely, personal factors such as “lack of expertise in teaching (or work)” and “difficulty in regulating one's emotions” were identified as low-priority areas for addressing burnout in both groups of teacher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support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preventing and recovering from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람(A-ram Kim),인효연(Hyoyeon In). (2024).교사의 소진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요구분석. 교육연구, 39 (1), 23-48

MLA

김아람(A-ram Kim),인효연(Hyoyeon In). "교사의 소진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요구분석." 교육연구, 39.1(2024): 2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