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의 세대별 주거 인식 특성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wareness by Gener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황신혜(Shin Hye Hwang) 김재태(Jae Tae Kim)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4권 제2호,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02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주거현황을 조사하고 주거상태의 개선에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여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킬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주로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하였고 실증연구를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거입지와 주거환경, 지역공동체는 다문화가정의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주거비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세대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30대, 40대, 50대의 경우는 주거입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20대의 경우는 주거환경이 가장 큰 영향 변수로 나타났다. 세대마다 약간의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주거인식 특성을 살펴봄으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주거 정책개발이나 지역공동체 역할과 같은 사회적 대응을 위한 기초자로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ways and implications to improve housing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deriving factors necessary for improving their housing condition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ncrea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mainly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nalyzed them through the SPSS 22.0 program for empirical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residential lo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but housing costs were not significant.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each generation, in the case of 30s, 40s, and 50s, the residential loc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but in the case of 20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the biggest influence variable. Each generation showed sligh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social responses such as housing policy development or local community rol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