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보는 부활 - 개신교 현대 조직신학자 바르트, 판넨베르크, 몰트만을 중심으로

이용수  56

영문명
Resurrection in the Perspective of Systematic Theology Centering on Modern Protestant Systematic Theologians: Barth, Pannenberg, Moltmann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백충현(Chung-Hyun Baik)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0, 137~16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현대인들은 죽음에 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관심은 현재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표출이다. 또한 이런 관심은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한 열망의 표현이다. 기독교 신학에서 죽음 또는 죽음 이후의 삶에 관한 논의는 부활이라는 신학적 주제(theological locus)와 관련된다. 본 논문은 현대 조직신학자 중 부활에 관해 많은 논의를 하였던 대표적인 신학자들인 칼 바르트,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위르겐 몰트만을 다루고자 한다. 이들이 각각 자신의 조직신학 체계 안에서 부활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바르트, 판넨베르크, 몰트만은 모두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가능성을 인정한다. 이들은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대로 예수 그리스도의 빈무덤 사건과 부활현현 사건을 모두 받아들이며 부활의 가능성을 주장한다. 이들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허구, 거짓, 상상, 환상이 전혀 아니다. 그런데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접근하는 관점들은 서로 다르며, 그러한 관점들은 각자의 신학방법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기에 각자의 신학방법론의 차이점들로 인하여 각자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현실성, 역사성, 사실성을 이해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그 외에도 부활과 관련된 여러 세부 주제들이 있지만 본 논문은 그 범위를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가능성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의미에 관해서 더욱 많은 논의를 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지면의 한계상 다루지 아니한다. 마지막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함의하는 점들을 몇몇 가지로 살펴보되 부활을 소망하는 삶이 어떠한 것인지에 관해 간결하게 다루고자 한다.

영문 초록

Today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death. However, this interest is an expression of concerns about what kind of life to live now. Also, this interest is an expression of the desire for life after death. In Christian theology, discussions about death or life after death are related to the theological locus of resurrection. This paper focuses on representative systematic theologians who have discusse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Karl Barth(1886-1968), Wolfhart Pannenberg(1928-2014), and Juergen Moltmann(1926-present). It attempts to take a closer look at how each of them deal with resurrection within each own theological system. Barth, Pannenberg, and Moltmann all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y accept both the empty tomb event and the appearance event of the resurrected Jesus Christ as recorded in the Bible and assert the possibility of resurrection. For all of them,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s not fiction, a lie, imagination, or fantasy at all. However, the perspectives from which they approac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re different, and those perspectiv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wn respective theological methodology. Due to differences in theological methodology, the degree to which each person understands the reality, historicity, and factual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ppears to be different. There are many other detailed topics related to resurrection,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lthough they discussed more about the meaning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t is not discussed in this paper due to space limitations. Lastly, this paper looks at some implications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nd briefly address what a life to hope for resurrection is like.

목차

1. 서론: 죽음에 과한 오늘날의 관심
2.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가능성에 과한 조직신학적 관점들
3. 결론: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함의점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충현(Chung-Hyun Baik). (2024).조직신학적 관점에서 보는 부활 - 개신교 현대 조직신학자 바르트, 판넨베르크, 몰트만을 중심으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 137-163

MLA

백충현(Chung-Hyun Baik).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보는 부활 - 개신교 현대 조직신학자 바르트, 판넨베르크, 몰트만을 중심으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4): 137-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