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 underachievers - With a focu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류경숙(Kyeungsuk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4권 2호, 2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부진아의 실태를 파악하고 뇌선호도 조사를 통해 학습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2019년 부산지역 대학교 한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서 봄 학기 과정 중인 학습자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으로는 먼저 한국어 학습부진아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급에서 5급 까지 수준별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아 수가 가장 많은 급을 선정하여 좌ㆍ우뇌의 인지유형을 분석하는 뇌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부진아 실태조사 결과, 한국어 학습부진아수는 2급이 가장 많으며, 학습부진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이 4급으로 나타났다. 좌ㆍ우뇌 뇌선호도 검사에서는 좌뇌 형이 8.3%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우 뇌형과 양 뇌형의 45.8%의 5배가 낮은 수치이다. 이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에 맞은 수업지도와 맞춤형 지도를 하게 된다면 학습에 대한 부담이 줄게 되고 오히려 수업에 대한 자신감까지 느끼게 된다. 결국, 현장에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는 이러한 요인들을 파악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를 지도함에 있어 학습부진아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understanding actual situation of underachievers appearing in Korean learning process and extracting educational implication applying to learning fields through the brain prefere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and teachers during the spring semester at a university in Busan in 2019.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children with poor learning of Korean language, the government conducted a brain preference test to select the class with the highest number of children with poo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rain pre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number of children with poor learning in Korean is the second grade, the fourth grade is the highest, and the left and right brain type is the lowest at 8.3 percent, five times lower than the right and right brain type at 45.8 percent. Based on these results, if you provide customized instruction and lesson guidance suited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learners, you will feel less burden on learning and more confident in teaching. In the end,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role of teachers to grasp these factors and apply them to their class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guiding children with poor learning by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rs and deriving educational suggestions that can be applied at schoo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과 절차
4. 분석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