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spect of Korean writing system in civilizati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우형식(Hyeongshik 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4권 2호, 84~108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역사에서 갑오경장을 전후한 시기에는 외부로부터 새로운 사조가 밀려들면서 모든 분야에서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한글은 국문으로서의 대우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에 한글의 우수성은 대내외적으로 인정을 받았고 활용적 가치는 날로 증가하였으나, 실제로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통일된 안을 이루기 어려웠다.
이 글에서는 당시 국문 표기가 혼돈스러운 상황에서 한글의 실제 표기 양상을 보여 주는 문헌인 「國語綴字捷徑」(1908)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이 자료는 기독교 선교사로 활동하던 Gale의 「한영자뎐」(1897)의 표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당시의 한글 표기 양상을 모국어 화자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한글 정서법의 역사적 흐름을 기술하는 작업 의 일환으로, 이 책을 통해 개화기 당시의 실제적인 한글 표기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civilization period, a lot of changes were required in all fields due to the influx of new ideas from the outside world, and Hangeul was treated as a official letters of Korean language. Although Hangeul's excellence was recognize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its useful value increased day by day, it was difficult to achieve a unification on how to write it.
This paper presents the observation that Korean writing system has been applied in the civilization period, through Han(1908). This book shows the actual writing patterns related to orthography in a situation where Korean writing was chaotic at that time. And we can look at the reality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that was confusing in in many fields.
The writing patterns of this book reflect the traditional Korean writing system used at that time. So, the ‘arae a’(ㆍ) was widely used, and the glottal sounds were marked by ‘ㅺ, ㅼ, ㅽ, ㅆ, ㅾ’, and ‘ㄱ, ㄴ, ㄹ, ㅁ, ㅂ, ㅅ, ㅇ’ were used as the syllable final consonants. But many changes of Korean writing system have happened in that time, it included the features of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causes which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dition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Han(1908),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he writing patterns were formed in this book and how it developed later, in order to analyze the flow of Korean writing system.
목차
1. 들어가기
2. 집필 목적과 방법
3. 본문의 구성
4. 표기상의 특징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