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의 입장에서 본 훌륭한 한국어교사의 자질 - 부산 지역 3개 대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47
- 영문명
- Qualities Characteristics of goo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SL - From Chinese learners' voice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창구(Chang-G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2권 1호, 4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글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상황에서 학습자 입장에서 본 훌륭한 한국어교사의 자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교사 자질 연구들이 대부분 외국어 교육영역에서 이루어진 반면 한국어 교육영역에서는 여전히 논의가 되지 않은 점에 주목하여 설문지를 이용, 훌륭한 한국어교사의 자질 목록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역 3개 대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241명의 설문지 조사를 통해 총 1,148개의 분석항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핵심어 분석을 통해 추출된 자질들을 1) 교육자로서의 인성 및 태도와 관련된 자질, 2) 교육자로서의 기술적 지식과 관련된 자질, 3) 교육자로서의 교육적 기술로 범주화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훌륭한 한국어교사들은 단순히 목표어에 대한 지식을 안다는 것과 잘 가르쳐야 한다는 것, 이상으로 교육자로서의 인성 및 태도를 갖추어야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finding out good characters as a Korean language teachers. Studies concerning good characters of teachers should be made, because these have much less active in Korean language than in other foreign languages. For this studying, the questionnaire was made to take out the items concerning the proper characters of Korean teachers.
From the questionnaire, 1148 items were taken out. They are analyzed into three categories: 1) personal and interpersonal qualities, 2) technical knowledge, 3) pedagogical skill.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tell us that the personal and interpersonal qualities are much more required.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의 분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Device for the Prosperity of Korean Education in Thailand - Through Cross-Cultural Awareness and Learning Motivation
- 학습자의 입장에서 본 훌륭한 한국어교사의 자질 - 부산 지역 3개 대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중심으로
-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학과 공공기관의 연계 방안 - 경성대학교와 남구종합사회복지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을 위한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문제점 연구 - 문화 영역과 세부항목 중심으로
-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문제점
- 현장 체험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소그룹 활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