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mantic Preference Analysis of Degree Adverb 'Neomu', 'Doege', 'Eomcheong' in Private Conversa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서연(Seo-ye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6권 2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상 대화 말뭉치를 통해 <너무/되게/엄청 + 형용사>의 의미적 선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너무+형용사>에서는 [경험-심리]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되게+형용사>에서는 [경험-논리], <엄청+형용사>에서는 [사물-측량]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한편, 세 정도부사에서 사물에 대한 추상적 묘사를 의미하는 [사물-추상]의 의미 선호는 1건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의미 유형에서 <너무+형용사>의 의미 선호가 가장 많았으나 [사물-형태]에서는 <되게+형용사>의 의미 선호가 많았다. 향후 정도부사의 피수식어로 동사나 ‘명사+이다’ 등의 의미적 선호 양상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preferences of adjectives after the degree adverb 'Neomu', 'Doege', 'Eomcheong' in private conversations corpu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erience - psychology] showed high preference in , [Experience - logic] in , and [Object - Measurement] in showed high preference. And there was no preference for the meaning of [object - abstract] in . In addition, in most types, the meaning preference of was the most common, but in [object - form], there was a lot of preference for the meaning of .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semantic preference patterns such as verbs and ‘Nouns+Ida’ will be analyzed.
목차
1. 서론
2. 의미적 선호의 개념
3. ‘너무’, ‘되게’, ‘엄청’의 의미
4. 말뭉치 기반 ‘너무’, ‘되게’, ‘엄청’의 의미적 선호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