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금융화, 기업의 수익률 그리고 고용성장률

이용수  3

영문명
Financialization, Profitability and Employment Growth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서한석(Hanseok Suh)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5권 제4호, 103~1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징적 현상인 실물경제의 위축와 고용정체를 설명하기 위해 만성정체론, 무형화이론, 숙련 편향적 기술혁신을 동반한 세계화 그리고 금융화 이론이 제시되었다. 이들 이론 중에서 금융화 이론에 입각해서 비금융기업의 금융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금융화의 개념에 대한 합의된 단일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폭넓게 수용되고 있는 개념을 수용한다. 금융화는 1970년대 말 이후 금융의 힘, 금융시장 그리고 금융 투자자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현상”(Stockhammer, 2004; Crotty, 2005; Epstein, 2005; Krippner, 2005; Palley, 2007; Hein, 2008, 2011; Orhangazi, 2008; Dallery, 2009; Lapavitsas, 2009; Bellamy Foster, 2010). 또는 “1980년대 초부터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이 실물경제에 대한 영향력이 점증하며, 기업의 수익에서 금융거래로 부터의 이익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규정한다. 본 연구는 금융화의 여러 현상중에서도 비금융기업의 금융화. 그리고 비금융기업의 금융화가 실물활동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비금융기업의 금융화는 세 가지 경로를 통해 고용을 비롯한 실물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첫째, 비금융기업이 금융기업처럼 행동하게 됨으로서 실물투자를 통한 고용확대와 영업이익증대보다는 금융수익과 재무관리에 치중하게 된다. 따라서 금융화의 진전은 고용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Epstein, 2005). 둘째, 전통적으로 기업은 높은 수익을 통해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기업 성장을 도모한다(Coad, 2009). 그러나 금융화의 진전에 따라 기업의 높은 수익이 기업의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게 되었다. 셋째, 시장형 금융제도의 전환이 어느 정도 진전되고 있는지, 그리고 자본자유화와 주주가치 극대화 규범이 얼마나 확산되는지에 따라 기업의 고용성장은 영향을 받는다. 비금융기업의 금융화가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경로를 다음과 같이 검증 가능한 세 가지 가설로 정리해 본다. (가설1) 금융화의 진전은 고용성장률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설2) 기업의 수익률이 직접적으로 고용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설3) 기업의 수익률이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금융화에 의해 좌우된다. 가설검증을 위해 1988~2017년 기간 동안 한국의 비금융 상장기업을 1988~1998년, 1999~2008년, 2009~2017년의 세 개 시기로 구분한다. 그리고 추정을 위해 고용성장률 결정모형을 이용하는데 수익률과 고용성장률의 양방향 인과관계 때문에 system GMM을 이용한다. 비금융기업의 금융화가 실물경제활동에 미치는 바를 포착하기 위한 금융화지표로는 (금융이익/매출액)과 (금융지급/당기순이익)의 두 가지를 사용하는데, 이둘은 금융화의 실증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계량분석의 강건성을 위해 (자본거래총액/GDP)와 (민간신용/GDP)의 두 지표를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화가 직접적으로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2008~2017년 기간에만 성립하며, 1998~2008년 기간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둘째, 기업의 수익률이 직접적으로 고용성장률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금융화 이론은 성립하지 않는다. 추정결과 기업수익률은 고용성장률에 양의 직접적인 유의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금융화가 심화될수록 기업수익률이 고용성장률에 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의 여부는 상호 교차항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추정결과, 외환위기 이후 현재까지의 두 개 기간 모두 상호 교차항이 유의한 음의 값을 보인다. 1998년 이후 금융화가 진전될수록 수익률이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음의 영향이 커진다. (높은 수익 → 사내유보 → 설비투자와 고용증가)의 연결고리(nexus)가 취약해지고, 금융화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추정결과가 일치성을 갖기 위해서는 1차 차분 방정식의 오차항이 1차 시계열 자기상관관계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검정(Arellano- Bond test for AR(1)하고, 2차 시계열 자기상관관계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검정한다(Arellano-Bond test for AR(2)해야 하고 과잉식별 제약과 관련된 Hansen test를 통해 도구 변수들이 전반적으로 타당한지를 검정해야 한다. 검정 결과 시계열 자기상관관계가 없고, 과잉식별검정을 통해 도구 변수들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기업고용성장률의 정체를 해명하기 위해 금융화 가설을 원용하였는데, 금융화 이론의 가장 큰 한계는 첫째, 주주가치 극대화 가설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둘째, 실증분석과 관련하여 금융화 개념이 명확치 않고, 금융화 현상과 결과가 서로 혼재되어 있다. 금융의 실물경제에 대한 영향력 확대라는 금융화 개념은 그 자체가 금융화 현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금융과 실물부문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금융화가 고용을 비롯한 실물경제활동을 위축시킨다는 가설은 항등식의 설명에 불과하다는 반론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과 논리적 약점을 극복하는 것이 추후 과제이다.

영문 초록

One of the stylized facts of advanced income countries including S.Korea since 1980s is employment growth stagnation. There are four theoretical approaches to explain this feature; secular stagnation thesis(Teulings and Baldwin, 2014) theory of intangible economy(Haskel and Westlake, 2018). globalization-cum- skill biased technological change(Autor et al., 2003), and financialization research(Davis, 2016). In this paper we argue that financialization has deeply associated with declining real economic activity such as shrinking employment growth and investment weakness. Financialization is perhaps most commonly defined as “the growing influence that financial forces, markets and investors have had on world economic dynamics”(Stockhammer, 2004; Crotty, 2005; Epstein, 2005; Krippner, 2005; Palley, 2007; Hein, 2008, 2011; Orhangazi, 2008; Dallery, 2009; Lapavitsas, 2009; Bellamy, 2010) or it “refers to the growing influence of financial actors whether direct or mediated via markets over the real economy and the growing portion of corporate revenue and profits deriving from financial transactions”(Krippner 2005; Davis 2009). Four types of financialization have been identified: the rising trend of the financial sector as a whole;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financial markets; the financialization of non-financial corporations(NFCs); and the increasing household debt and financial investments. Among these we focus on how the financialization of NFCs affects real economic activities in terms of job creation and physical investment. We argue that the financialization of NFCs affects employment through three channels: First, NFCs increasingly resemble financial firms, which leads to growing importance of both financial investment and financial profits rather than operating income. Therefore financialization of NFC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nancial activity while negating real economic activities(Epstein, 2005). Second, even though traditional theory of the firm views higher profitability results in higher firm growth(Coad, 2009), nexus between firm profitability and growth has been eroded mostly due to financialization of NFCs. Third, employment performance of NFCs are increasingly dependent upon both the level of financial market liberalization and the extent of shareholder value maximization. Building on three channels of financialization effects on employment we provide three testable hypotheses: (Hypothesis 1) Financialization of NFCs directly discourages employment growth; (Hypothesis2) NFCs’ profitability has direct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growth; (Hypothesis 3) How does NFCs’ profitability affect employment growth depends on the degree of financialization. To test those three hypotheses we build a regression model for employment growth based on the theory of firm growth, thereafter we use data on Korean publicly listed firms for the period 1988-2017 and estimate a dynamic panel model using the system GMM. The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1) the direct effect of financialization on employment growth rate is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during the period of 2008~2017; (2) over the whole period firm’s profitability does not have direct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growth, which means profitability could contribute to employment growth. Such a result invalidates the financialization hypothesis; (3) How does the indirect effects of profitability on employment growth depend on financialization can be estimated by using interaction term of (profit rate×financial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금융화와 고용
Ⅲ. 기업 고용성장의 결정요소
Ⅳ. 모형과 추정절차
Ⅴ. 추정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한석(Hanseok Suh). (2018).금융화, 기업의 수익률 그리고 고용성장률. 유라시아연구, 15 (4), 103-130

MLA

서한석(Hanseok Suh). "금융화, 기업의 수익률 그리고 고용성장률." 유라시아연구, 15.4(2018): 103-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