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ments on the trade powers and the future prospects of China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언군(Jun Yan) 진빈(Bin Chen) 반도(Tao Pa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5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3년 이후 중국의 무역은 비약적 성장을 이루었다. 중국의 대외무역 총액은 4조 16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 4조 달러의 벽을 넘었다. 이로써 미국을 뛰어넘는 세계 최대 무역국이 된 중국은 국제 사회의 엄청난 주목을 받았다. 일각에서는 2013년 중국의 무역 총액이 미국보다 2,500억 달러가 많을 것이며, 이 격차는 앞으로 계속 벌어질 것으로 예측한다. 독일을 제친 세계 최대 수출국이자 일본을 추월한 세계 2대 GDP 강국, 그리고 미국을 넘어선 세계 최대 무역국인 중국의 화려한 기록은 글로벌 경제에서의 중국의 위상과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GDP와 무역 총액이 아무리 거대하더라도 평균적으로 감안하면 무역경쟁력은 달라진다. 게다가 중국의 서비스 무역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며, 세계 순위에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WTO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2년 중국의 서비스 산업 수입량은 세계 5위 수준이며, 서비스 산업 수출량은 미국, 독일에 이은 3위다. 무역 전문가들은 중국이 미국을 초월해 최대무역국이 되었지만, 이로 인해 서비스 무역의 취약성이 더욱 여실히 드러났다고 분석한다. 비합리적인 무역 구조와 화물 무역의 구조적 결함이 중국의 무역강국 실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2016년에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무역강국”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수립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의하면 대다수의 서방국가들은 무역대국이나 무역강국의 자연적 형성 과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 국가간 무역전략을 지지하지 않는 반면, 중국은 무역강국 전략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제기하고 있다. 무역대국 또는 무역강국에 대한 정의나 측정 지표 시스템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무역파워의 함의 및 지표 평가 시스템, 중국의 무역파워 현황 및 이행 경로 등의 측면에서 시공간 궤적의 변화를 포함하는 중국 및 외국 문헌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새로운 세계의 정치문제 및 경제상황의 출현으로 무역파워 및 측정 지표 시스템은 시간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콘텐츠와 함께 통합되어야 한다. 또한 무역강국이라는 개념의 이해와 과학적 평가 시스템의 구축이 한 국가의 무역 지위와 개발 단계 및 무역전략의 실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China has experienced uninterrupted trade surpluses since 1993. Now that Total trade multiplied by nearly 100 to USD 4.2 trillion in only three decades and, in 2013, China surpassed the United States as the world’s biggest trading nation. During this period, China surpassed Germany as the world’s largest exporter, and surpassed Japan to become the world’s second economy, and then to now that the growth of the china’s economy has once again highlighted the power of the country’s influence in the world economy.
No matter how enormous the GDP and total trade volume are, trade competitiveness is different on average. In addition, China’s service trade is less than half of the United States, and is at the bottom of the world rankings.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the WTO, China’s service industry imports are ranked fifth in the world in 2012, and the service industry exports are ranked third, next to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ough China has become the largest trading na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but this has made the vulnerability of the service trade more evident. Unreasonable trade structures and structural defects in commodity trade are obstacles to the realization of China’s trading power.
Since 2013, China has become the world’s largest trading nation. In 2016, China formally established the strategic goal of “trade power.” From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western scholars pay more attention to the natural formation process of big countries or powerful countries, and do not strongly advocate the national strategy of trade power, but China strong supports for the strategy of a trade power. There are no definite conclusions about the meaning and the measurement index system of big trade nation or trade power. This paper explores the Chinese and foreign literatures in the fields of connotation and evaluation system of trade power, trade power status and implementation path of Chinese and so on, in which the trajectories of time and space’s development in trade power theory and measurement index system are outlined. With the emergence of new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in the world, the study of the trade power and its measurement index system needs to be integrated with the new content with the times. Ther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grasp the profound meaning of trade power and the construction of a scientific evaluation system, to a correct understanding of one country’s trade status and development stage and the realization of one’s trade strateg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index system of trade power
Ⅲ. The transformation of trade growth pattern of China
Ⅳ.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path to trade power of China by scholar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mments on the trade powers and the future prospects of China
-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 및 전세가율의 동향과 전망: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을 중심으로
- 유럽 사모펀드 시장의 현황과 전망
- The Integrated Risk Managemen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 on Korea’s Insurance Industry
- 중소기업의 아웃소싱 파트너 역량이 파트너십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아웃소싱 목적을 조절효과로
- 지역주민 참여와 콘텐츠 개발을 통한 CATV 지역채널의 사업전략
- An Empirical Analysis of FDI, Human Capital and China’s Regional Economic Growth
- 대만 소득 불평등도의 구조변화에 대한 연구
- 공공기관 기관장의 교체와 공공기관 성과에 관한 연구: 기관장의 교체 유형 및 정치적 연결의 상호작용
-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과 EU의 양면적 대응
- Testing the Bargaining Model of Corporate Govern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Market
- 금융화, 기업의 수익률 그리고 고용성장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