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Empirical Analysis of FDI, Human Capital and China’s Regional Economic Growth
이용수 0
-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f FDI, Human Capital and China’s Regional Economic Growth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려아평(Yaping Lv) 송재훈(Jaehoon Song)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5권 제4호, 43~5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혁개방 이후 중국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고 국민소득 수준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이는 특히 개혁개방정책에 따른 외국인 직접투자의 대규모 유입으로 인한 중국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중국의 지역간 경제불균형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특히 정부정책, 시장입지, 노동력 및 구축효과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동부, 중부 및 서부중국의 FDI 규모 또한 크게 다르며, 지역분포로 보면 주로 동부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와 같은 FDI의 중국 동부연안지역에 대한 대량유입은 비록 동부지역 경제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시켰지만, 지역간 경제발전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 또한 논란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FDI에 관한 지역특혜정책 약화와 함께 동서경제 성장 격차의 축소는 점진적으로 지역간 균등한 경제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필연적으로 중국경제의 장기발전의 선순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서부대발전”과 “중화민족의 부상”이라는 중국정부의 정책기조에 따라 외국인 직접투자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유인은 중앙 및 서부경제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역경제발전 격차를 좁힐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의 지역경제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차이점과 기여도를 연구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나 큰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무엇보다도 FDI와 경제성장은 거시경제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항상 뜨거운 이슈가 되어 왔다. 그러나 FDI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이 선진국에서 시작되었고, FDI에 관한 이론은 대부분 투자국의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개발도상국의 FDI와 경제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드물었다. 그리고 연구의 초점 역시 FDI에 따른 지역간 차이의 현상, 형성의 원인,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 메커니즘 및 해결책을 정성적으로 연구해왔다. 또한 거시환경 및 정책의 차이로 인해 지역별 경제성장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역할도 변화해 오고 있다. 따라서 FDI를 연구하는 것은 중국경제성장에 있어 이론적으로 의미가 매우 크다. 중국의 FDI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에 시작되었다. 그것의 대부분은 FDI와 경제성장의 관계를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해왔다. 자본의 한 형태로 신고전주의 경제성장이론의 틀에서 한 연구와 두 번째는 새로운 경제성장이론의 틀에서 기술을 통해 경제성장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파급효과를 연구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obb-Dauglas 생산함수를 이론적 모형으로 하여 1998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의 30개 성 및 도시에서 일만여개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국인 직접투자, 국내투자, 인적자본 및 중국경제성장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보았다. 패널데이터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국내투자 및 FDI가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동부, 중부 및 서부지역의 국내투자와 경제성장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고, 국내투자는 동부, 중부 및 서부지역의 경제성장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본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인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증분석결과 중국의 30개 성과 도시에서 인적자본과 경제성장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지역경제발전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영향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요인은 중국지역경제의 불균형발전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특히 FDI는 동부 및 서부중국의 경제성장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중 동부지역의 FDI 탄력성계수는 0.0619이며, 서부지역의 경제성장 탄력계수는 0.1065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인 직접투자는 중부지역의 경제성장과는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탄력성계수는 -0.0601로 중부지역에 대한 국내투자에 대한 “구축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Since the reform and development, China’s economy has grown rapidly and the national income level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This is closely related to China’s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up, especially with the large-scale inflow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under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However, at the same time of rapid growth, China’s regional economic imbalance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Due to factors such as policy, market, location, labor force and clustering effects, the scale of FDI use in eastern, central and western China i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FDI has flowed into coastal areas in large quantities, which has promote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conomy in the eastern region. However, it is also an indisputable fact that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gap has been widened. Coupled with the sloping FDI regional preferential policy arrangement, it has led to the growing economic growth gap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increasingly uneve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se problems will inevitably affect the long-term development and virtuous circle of the Chinese economy.
Therefore, under the strategy of “Western Development” and “Rise of Central China”, rational and effective u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 central and western economy and narrow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gap. Studying the differences and contributio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China’s regional economy has certain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First of all, FDI and economic growth have always been hot issues for scholars in macroeconomic research. However, FDI research started in developed countries. Most of the theories about FDI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vestment home countr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is relatively rare. And the research angles are qualitatively researching the status quo of FDI regional differences, the causes of formation, the mechanism of impact on economic growth, and solutions. Moreover, the rol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economic growth in different regions has also changed due to differences in macro environment and policies. Therefore, studying FDI has far-reaching theoretical significance for China’s economic growth.China’s research on FDI originated in the 1990s, most of them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economic growth through two perspectives. First, under the framework of the neoclassical economic growth theory, the role of FDI as a form of capital in China’s economy is studied. Second, the role of FDI in economic growth through technological spillovers is studied under the framework of the new growth economic theory. Based on the new growth theory, this paper sorts out nearly 10,000 data from 1998 to 2016. Through data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it provides case experience for FDI and economic growth theory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beneficial to further research on FDI and economy.
Secondly,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human capital and China’s regional economic growth. It is not only a summary of the u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past 30 years, but also an exploration of the rational u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future. Rational use of foreign investment, with the goal of narrowing regional disparities and promoting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al economy, strive to maximize the rol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promoting the economy.
Based on these research implications, we use the cobb-dauglas production function as a theoretical model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domestic investment, human capital and China’s economic growth using panel data from 30 provinces and cities in China from 1998 to 2016.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Ⅲ.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Economic Growth
	                       
	                          Ⅳ. Research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mments on the trade powers and the future prospects of China
-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 및 전세가율의 동향과 전망: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을 중심으로
- 유럽 사모펀드 시장의 현황과 전망
- The Integrated Risk Managemen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 on Korea’s Insurance Industry
- 중소기업의 아웃소싱 파트너 역량이 파트너십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아웃소싱 목적을 조절효과로
- 지역주민 참여와 콘텐츠 개발을 통한 CATV 지역채널의 사업전략
- An Empirical Analysis of FDI, Human Capital and China’s Regional Economic Growth
- 대만 소득 불평등도의 구조변화에 대한 연구
- 공공기관 기관장의 교체와 공공기관 성과에 관한 연구: 기관장의 교체 유형 및 정치적 연결의 상호작용
-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과 EU의 양면적 대응
- Testing the Bargaining Model of Corporate Govern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Market
- 금융화, 기업의 수익률 그리고 고용성장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