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 Content Prototype Using Generative AI-based 3D Modeling

이용수  90

영문명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 Content Prototype Using Generative AI-based 3D Modeling
발행기관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저자명
신설빈(Seol-Bin Shin) 정유원(Yu-Won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7권 2호, 31~4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공학 > 컴퓨터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Text-to-3D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방 꾸미기 게임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와 같은 가상 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게임은 사용자를 단순한 플레이어에서 창작자인 크리에이터로 발전할 수 있게 하였고 이러한 재미 요소는 대중적인 인기에 이바지하였다. 생성형 AI는 데이터와 패턴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콘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게임 개발에도 마찬가지로 유용하다. 이러한 생성형 AI를 통한 콘텐츠 제작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콘텐츠의 품질을 높이고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네트워크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리슨 서버(Listen-Server) 방식으로 방 꾸미기 게임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 게임의 핵심 시스템은 메타버스에서 사용자가 쉽게 생성형 AI로 3D 모델을 생성하고, 자신의 방에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코딩 기초 이해는 물론 좀 더 쉬운 방법으로 3D 오브젝트 생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작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뿐만 아니라 동시에 창작자의 역할로 이용자의 주체성,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등을 향상할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그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코딩 학습을 이해함으로써 사용자의 창작 활동에 기회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propose to design and implement a prototype of a room decorating game in the metaverse using Text-to-3D generative AI technology. Virtual reality-based metaverse games like and have enabled users to evolve from mere players to creators, contributing to their widespread popularity. Generative AI can easily create various forms of media content based on data and patterns, and it is equally useful in game development. Content creation through generative AI not only saves time and costs but also improves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conten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room decorating game using the Listen-Server method with Unreal Engine's network framework. The core system of this game allows users to easily generate 3D models using generative AI and place them in their rooms within the metavers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coding, users can create the metaverse platform they desire through easier methods of 3D object creation. This process enhances the user's sense of agency,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by allowing them to play both the roles of user and creator. Additionally, understanding basic coding principles expands the opportunities for users to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content.

목차

1. Introduction
2. Background Research
3. Overview of Room Design Game
4. System Implementation
5.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설빈(Seol-Bin Shin),정유원(Yu-Won JEONG). (2024).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 Content Prototype Using Generative AI-based 3D Modeling.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37 (2), 31-42

MLA

신설빈(Seol-Bin Shin),정유원(Yu-Won JEO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verse Content Prototype Using Generative AI-based 3D Modeling."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37.2(2024): 3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