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 피지컬 리터러시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33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Literac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남윤호(Yoon Ho Nam) 함명환(Myoung-Hwan Ham)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8권 제2호, 115~14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PL)의 구성요인을 밝혀 PL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 10명의 협의와 개방형 질문에 의해 구성요인이 작성되었고 연구 수행 과정을 거쳐 SPSS 2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도구의 내용 타당성을 높이고자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 10명(체육교육과 교수+중학교체육교사+ 체육학박사)으로 한정하였다. 전문가에 의해 선택된 요인을 구체적으로 묻는 45개 문항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채치가 너무 낮은 10개을 제외한 35개 문항이 채택되었고, 여학생은 45개 문항에서 19개 문항을 제외한 26개 문항이 채택되었다. 이어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밝히고자 자료 속에서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공통된 구성요인을 찾아 그 구조를 검증하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PL의 구성요인들을 찾아내었다. 그 결과 외적 타당성을 확보한 후 남학생은 35개 문항에서 7가지 요인인 습관·열정, 긍정적사고, 자신·자존감, 동기, 지식, 교육, 신체적 능력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26개 문항에서 7가지 구성요인인 신체적 능력, 지식, 교육, 동기, 자신·자존감, 긍정적사고, 활동습관이 도출되었다. 이는 남녀 모두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중학생 PL 척도는 중학생 시기의 PL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 청소년기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라이프스타일을 구축하고, 평생체육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Physical Literacy (PL)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PL. The constructs were built based on input from 10 specialists who possess a decade of teaching expertis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45 items specifically asking about the factors selected by the experts, 35 items were adopted except for 10 items with too low scores, and 26 items were adopted except for 19 items from 45 items for female students. Then, to reveal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found the components of PL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structure by finding common components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data. After securing external validity, seven factors were identified from 35 items for boys: habits and passions,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motivation, knowledge, education, and physical ability, and 26 items for girls: physical ability, knowledge, education, motivation, self-esteem, positive thinking, and activity habits. This reveals boys and girls have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traits. The PL scale established is a tool for evaluating the PL levels of middle school children. It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an active lifestyle during adolescence and establishing a strong basis for lifetime physic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윤호(Yoon Ho Nam),함명환(Myoung-Hwan Ham). (2024).중학생 피지컬 리터러시 척도개발 및 타당화.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8 (2), 115-140

MLA

남윤호(Yoon Ho Nam),함명환(Myoung-Hwan Ham). "중학생 피지컬 리터러시 척도개발 및 타당화."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8.2(2024): 115-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