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크골프 참여자의 열정적 행동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9
- 영문명
- Effects of Park Golf Participants' Passionate Behavior on Exercise Commitment and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이현서(Hyun-Seo Lee) 김병윤(Byung-Yo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1권 제2호, 273~2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파크골프는 실버세대들이 신체적, 비용적으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파크골프 참여자들의 열정적인 참여행동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파크골프 참여자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및 AMOS 18.0 을 이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EM을 통해경로분석을 실행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열정적 행동과 운동몰입의 관계는 조화열정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강박열정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열정은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운동몰입은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열정과 운동성과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이 부분적 매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열정이 저하되지 않도록 파크골프장의 환경을 개선해 준다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는 향상될것이다.
영문 초록
Park golf is establishing itself as a daily sport that the silver generation can enjoy physically and cost-free. Accordingly, we have examined the impact of park golf participants' passionate participation behavior on sports immersion and sports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243 park golf participants, and SPSS 21.0 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EM,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bootstrapping.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ate behavior and sports immersion, harmonious passion did not affect sports immersion, and obsessive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Second,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performance. Third, sports immer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performance. Fourth, sports commitmen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sports performance. Therefore, if the environment of the park golf course is improved so that passion does not decrease, exercise immersion and exercise performance will improv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Symphoricarpos albus의 항산화능과 Zebrafish 배아 독성 및재생 효능 평가
- CCD-986sk 세포 내 주박 분획물의 항주름 효능
- 에어브러시를 이용한 바디페인팅 디자인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인지감수성과 성적자기주장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햄프(Cannabis sativa L.)씨드오일 복합물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 검증
-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의 사용방법에 따른 꿀벌엽상잔류 독성 평가
- 홈트레이닝이 남자 대학생의 신체 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
- 이탄 토양으로부터 식물생육촉진세균 Pseudomonas sp. SH-26의 분리 및 특성
-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대유행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호흡기감염 예방 이행 수준과 영향요인
- 파크골프 참여자의 열정적 행동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the Efficacy of Short-term Mental Health Healing Programs: A Case Study of Civil Servants in Jeonnam
- The Effect of SNS Advertising Attributes on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Cosmetics Selection
-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의 유화력 및 가용화력 향상을 위한혼합물 조성 최적화
-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Rumex crispus L.)의 라디칼 소거능과 항균력 평가 및 화장품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비임상시험관리기준 시스템에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정확도 검증의 필요성
- 환경가치관에 따른 업사이클링 화장품의 지각된 소비가치 및 구매행동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수상안전을 위한 대학 교양으로서 생존수영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모색
-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
-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발효 깻잎 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
- 식음료 기업의 스포츠 스폰서십 활동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 아로마 목·어깨 마사지와 Red LED 조사가 목 피부 미세혈류에 미치는 영향
- 유소년 축구 연구 동향 고찰
- 임상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Antioxidant activity of 3,5-dicaffeoyl-epi-quinic acid (DEQA) from the halophyte Atriplex gmelinii
- 만성 피부 질환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호박, 작약, 타트체리 복합물의 효능 연구
- Variation of Nutritional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Extract of Lycium barbarum produc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한국인의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