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햄프(Cannabis sativa L.)씨드오일 복합물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annabis sativa L. seed oil complex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채현(Chae-Hyun Kim) 김세기(Se Gie Kim) 장영아(Young-Ah Jang) 권용진(Yong-Jin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1권 제2호, 251~25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햄프씨드오일 (Cannabis sativa L. seed oil, CSO)와 햄프씨드오일 복합물 (Cannabis sativa L. seed oil complex, CSOC)의 비교분석을 통해 항염증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SO와CSOC의 항염증 효과는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264.7 모델을 통해 확인하였다. Lipoxygenase inhibition activity를 통해 지질산화억제를 확인한 결과, CSO는 억제되지 않았지만 COSC는70% 이상 억제되었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확인해본 결과, CSO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CSOC는 200 μg/ml 이상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였다. LPS로 유도된 RAW264.7에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발현과 nitric oxide (NO)의 생산은 CSOC가 CSO보다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cyclooxygenas (COX)-2의 발현과 prostraglandin E2 (PGE2)의 생성을 확인해본 결과에서도 CSOC 가 CSO보다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SOC가 CSO보다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항염증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hemp seed oil (Cannabis sativa L. seed oil, CSO) and hemp seed oil complex (Cannabis sativa L. seed oil complex, CSOC) as an anti-inflammatory materia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SO and CSOC were confirmed through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264.7 model.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through lipoxygenase inhibitory activity, CSO was not inhibited, but COSC was inhibited by more than 70%. As a result of confirming cytotoxicity through MTT analysis, CSO did not show cytotoxicity, but CSOC showed cytotoxicity at over 200μg/ml. In LPS-induced RAW264.7,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CSOC compared to CSO. Additionally, CSOC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COX)-2 and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2 (PGE2).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CSOC has superior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CSO and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anti-inflammatory material.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Symphoricarpos albus의 항산화능과 Zebrafish 배아 독성 및재생 효능 평가
- CCD-986sk 세포 내 주박 분획물의 항주름 효능
- 에어브러시를 이용한 바디페인팅 디자인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인지감수성과 성적자기주장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햄프(Cannabis sativa L.)씨드오일 복합물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 검증
-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의 사용방법에 따른 꿀벌엽상잔류 독성 평가
- 홈트레이닝이 남자 대학생의 신체 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
- 이탄 토양으로부터 식물생육촉진세균 Pseudomonas sp. SH-26의 분리 및 특성
-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대유행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호흡기감염 예방 이행 수준과 영향요인
- 파크골프 참여자의 열정적 행동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the Efficacy of Short-term Mental Health Healing Programs: A Case Study of Civil Servants in Jeonnam
- The Effect of SNS Advertising Attributes on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Cosmetics Selection
-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의 유화력 및 가용화력 향상을 위한혼합물 조성 최적화
-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Rumex crispus L.)의 라디칼 소거능과 항균력 평가 및 화장품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비임상시험관리기준 시스템에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정확도 검증의 필요성
- 환경가치관에 따른 업사이클링 화장품의 지각된 소비가치 및 구매행동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수상안전을 위한 대학 교양으로서 생존수영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모색
-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
-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발효 깻잎 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
- 식음료 기업의 스포츠 스폰서십 활동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 아로마 목·어깨 마사지와 Red LED 조사가 목 피부 미세혈류에 미치는 영향
- 유소년 축구 연구 동향 고찰
- 임상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Antioxidant activity of 3,5-dicaffeoyl-epi-quinic acid (DEQA) from the halophyte Atriplex gmelinii
- 만성 피부 질환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호박, 작약, 타트체리 복합물의 효능 연구
- Variation of Nutritional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Extract of Lycium barbarum produc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한국인의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