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華語類抄』(1883)에 수록된 어휘의 華音表記 연구 -성모를 중심으로-
이용수 113
- 영문명
- Study on the Chinese Phonetic Notations of Vocabulary in “Hua Yu Lei Chao” (1883): Focused on Initial Consona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런멍지에(meng-jie Re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7輯, 5~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 in the “Hua Yu Lei Chao,” a type of rhyme book published around 1883, and to examine the tonal scales these notations reflect. The research utilized Korean script to record how Chinese was notated and explored the trends in the changes of initial consonants in modern Chinese. Additionally, by comparing the lexical notations in this document with those from earlier periods, the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lexical notation.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continuity and changes in the linguistic features of modern Sino-Korean languages. Generally speaking, while many case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Northern phonetics as standard, many also required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ern phonetics. Particularly in cases related to dialects such as Cantonese, Hakka, Wu, or Southern Min, detailed analyses were necessary.
This involves whether they reflect Southern phonetics or the dialectical characteristics of actual pronunciations circulating within China, which requires further inference. Additionally, some notations reflected phenomena of literary and colloquial readings or were influenced by Korean pronunciations of Chinese characters, providing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how these dialects differ phonologically from Standard Mandarin.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華語類抄』의 체재와 한어 표기법
3. 성모별 어휘의 한어 화음 표기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식민적 망각에서 포스트메모리로
-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유형
-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위기 극복 담론과 극적 재현
- ‘더듸다’의 특성과 변화 연구
- [마음], [머리], [성격]의 속성과 의미특성 분석
- <양산백전>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기능
-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 PPT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발표 분석 연구
- 『華語類抄』(1883)에 수록된 어휘의 華音表記 연구 -성모를 중심으로-
- 자연(自然)과 문화(文化)의 대결담으로서 <호랑이와 곶감> 설화의 이해
- 김종삼 시의 영화 이미지 연구
- 문화적 이질성을 초월한 페미니즘
- 한국언어문학 第127輯 목차
-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