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이 지각한 어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박영애(Young Yae Park) 최영희(Young Hee Choi) 박인전(In J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5 No.2, 161~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EQ). The subjects were 1060 childre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Suwon, Taejon, and Taegu.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Scheffe'-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aternal warmth · accepta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ll four EQ factors, while rejection · restriction showed significant but much lower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t of them, “other-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and “emotion perception”. Higher maternal warmth · acceptance groups showed higher EQ scores in all four EQ subareas than lower warmth · acceptance groups. When warmth · acceptance was high, the effects of maternal rejection · restriction tended to be negative, lowering the EQ scores. But when warmth · acceptance was low, rejection · restriction effects were positive, lifting the EQ scores. Positive effects of warmth · acceptance were much greater when rejection · restriction was low than when it was high. Warmth · acceptance factor of the three maternal childrearing factor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children's EQ, and “other-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factor of the four EQ factors was the best predicted EQ score among the four, with “self-regulation and expression” factor as the second.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