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학작품속에 비춰진 가족내 커뮤니케이션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Amanda's Family Communication from ‘The Glass Menageri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방은령(Eun Ryung B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 No.2, 109~1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family communication in three aspects: family function, family system, and family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Amanda's family communication from 'the Glass Menagerie' was analyzed by Galvin & Brommel's theory(1986). The results showed that: 1. Amanda's family is 'enmeshed' and 'rigid'. Their family theme is to lead Laura have a boy friend. There are no family boundaries. 2. Amanda's family failed in family integration as a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systems-interdependence, wholeness, patterns, multual influence/punctuation, adaptation, openness, equifinality, hierarchical relationships-establish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n a family. But they dysfuntioned in Amanda's family. 3. Family in developed relationships appears the characteristics-developed communication(richness, efficiency, substitutability, pacing, openness, spontaneity, evaluation), intimacy within family, and cooperative steps in decision making. But Amanda's famliy didn't appear such characteristics.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