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위탁 양육관련 변인에 따른 위탁유지
이용수 4
- 영문명
- The Foster Care Retention of Foster Parents in Accordance with Foster Family Related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3, 149~1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우리사회에서 가정위탁양육과 관련하여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는 문제들 중 하나가 위탁양육에서의 중도해지 또는 위탁유지의 문제이다. 위탁양육 유지 여부는 가정위탁 보호 서비스의 성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위탁양육 유지와 관련있는 변인들에 따른 위탁부모의 위탁 양육유지 의사를 살펴봄으로서 위탁가정지원 시 고려해야 할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109명의 위탁부모를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99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탁부모의 위탁 양육유지 의사는 위탁부모 개인 및 위탁가정 개별특성이나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변인에 따라서는 위탁부모가 종교생활을 하는 경우에서 그리고 이전의 위탁경험이 없는 경우에서, 아동의 조부모인 경우에서 그리고 가족이 협조적일 때, 현재 지급받고 있는 양육보조금에 불만족하는 경우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탁아동특성 제 변인에 따라서는 유의미하게 차이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위탁부모로 하여금 위탁양육 유지를 결정하게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탁아동 요인보다는 오히려 위탁부모 개인 및 위탁가정 개별특성이나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정위탁실천 현장에서 위탁아동 배치, 위탁가정과 위탁부모지원 시 고려해야 할 기초자료 제공에 그 함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upporting foster familie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foster family-related variables on foster parents’ willingness to maintain foster ca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09 foster parents, 99 of whom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Among foster parents’ individual and foster family characteristics, and family and social support factors, foster parents’ willingness to maintain foster care tends to be strong when the foster parents have personal religious beliefs, have no previous foster care experience, are grandparents of foster children, have family support, and are not satisfied with a rearing subsidy. However, no relevant variables were fou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ste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