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폭력상담원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직무요인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3
- 영문명
- The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Job Variables on the Vicarious Trauma of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신혜섭(Hye Seop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1, 45~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상담을 대상으로 하여 대리외상 실태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주요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인천ㆍ경기의 가정폭력상담소 및 시설의 여성상담원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발송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대리외상은 평균은 25.98로서 성매매피해여성상담원의 경우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상담원의 대리외상은 직무요인 중 근무시간과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그 영향력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상담원의 스트레스와 회피적 대처방식은 대리외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회피적 대처방식이 스트레스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폭력상담원이 내담자와 폭력문제를 다루면서 자신도 갖게 되는 대리외상 증상은 가정폭력상담원이 회피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그리고 자신의 삶에서의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상담원에대한 기관의 지원, 가정폭력상담원의 자기관리에 대한 함의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find out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of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Data are gathered from 119 women counselors who work at shelters and domestic violence counseling centers in Seoul, Inchon and the Kyonggi-do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of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has a mean value of 25.98. Second, a counselor’s work schedule is weakly related to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However, when entered in a regression analysis, a counselor's work schedule i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Third, life stress and avoidant coping strategies are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Avoidant coping strategies have more influence. Thus, even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the more the counselors have life stress and the more they use avoidant coping strategies, the more they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vicarious trauma.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on the support strategy from the agency and importance of self-car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