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영문명
Effects of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on Unmarried Women's Motivation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이미란(Mi Ran Lee)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3, 75~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정부가 시행하고 있거나 앞으로 실행하려는 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정부 정책이 수립될 수 있는 정책적 토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전후로부터 40세 전후까지의 연령대에 있는 가임 여성인 미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먼저, 출산 장려 정책의 효과에 대해 미혼 여성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출산 장려 정책을 유형화한 후 알아 본 결과 출산 간접 지원 정책과 가족 친화 환경 조성, 그리고 출산 후 양육 지원 정책의 효과에 대해 대체적으로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 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는데 출산 간접 지원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취업 여부, 소득 수준, 교육 수준,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인과 관계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주목해 볼만한 부분은 미혼 여성들이 처해 있는 정책적 환경의 변화를 통해 출산 양육 동기가 변화할 수 있다는 점과 전반적인 통합 지원이 출산 양육 동기를 높이는 효과적인 정책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that are currently in force or would be put in force someday by the government affect unmarried women's motivation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n order to present a policy foundation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government policies for the future. The results of a survey were used to analyze effects of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on unmarried women's motivation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nmarried women's of childrearing age around twenty to forty living in Seoul. As data analysis method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irst, after materializing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to see how unmarried women's recognized the effects of those policies, it was found that they generally had low recognition of the effects of indirect childbirth-supporting policies, family-friendly environment creation, and post-childbirth childrearing-supporting policies. After analyzing the effects of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on unmarried women's motivation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t was shown that indirect childbirth-supporting poli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motivation. There was no change in causation, even with employment, income level, educational level, and age controlled. What is notable in these results is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unmarried women's motivation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by changing the policy environment and that general integrative support can be suggested as an effective policy alternative to enhance mo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분석 모형과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란(Mi Ran Lee). (2009).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4 (3), 75-96

MLA

이미란(Mi Ran Lee). "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4.3(2009): 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