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개방입양서비스의 경험과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Open Adoption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 A Case from Oreg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배태순(Tai-Soon Ba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2, 71~10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오리건(Oregon)주가 입양가족들에게 제공하는 개방입양서비스가 본래의 의도대로 입양아동의 복지를 실제 증진시키며 잘 수행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개방입양은 입양아동의 유전적인 기원인 뿌리에 대한 욕구, 즉 친생부모와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입양 후에 입양가족과 친생가족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의 큰 의의는 개방입양이 사적입양기관을 통해 친생모가 자발적으로 포기한 신생아를 입양한 가족들 대상이 아니라, 학대 등으로 인해 친생부모의 친권이 박탈되는 아동을 공적입양기관을 통해 입양한 가족들이 개방입양의 대상이라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State of Oregon started to provide open adoption services in 199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determine if Oregon’s open adoption program works well for the adopted child and for the adoptive and birth families. Open adoption means that the adoptive family recognizes there is another set of parents for their adopted child, and there is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ld’s birth and adoptive families after adoption. The adopted child can have contact with his birth family through letters, cards, pictures, or visits, and can freely talk and ask about his birth parents with the adoptive parents. The study indicates that Oregon’s open adoption service program works very well for the well-being of the adopted child and his adoptive and birth families. The positive study results are even more meaningful given the fact that the child had been traumatized by the separation from and abuse by his birth parents whose parental rights were involuntarily terminated due to substance abuse or abusive behavior to their chi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빈곤가정 아동의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양부모가족과 여성한부모가족 아동의 비교
-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 연구동향 분석과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아동·청소년과 부모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owering Family Welfare Service in Korean Local Communities
- 미국 개방입양서비스의 경험과 시사점
-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