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사회관계망의 효과
이용수 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문선희(Sun-Hee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0 No.1,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irst, which factors influence the rearing of grandchildrenand then, second, how the social networks of grandmothers impa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rawn from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 3,289 womenabove the age of 51 with one or more grandchildr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areas follows; first, the support of family members i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well-being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Raising their grandchildren may be aburden on their daily lives, but support from their family members reduces the stressors ofchildrearing. Second, focusing on social networks as a resource is important to increase the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mothers. It implies that intangible resources such as trust andintimacy strengthened by informal meetings and friendships can b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the quality of later life. Lastly, childrearing by grandmothers should be supported at a social policylevel. Furthermore, informal childcare by family members or relatives would continue even with theincrease of public daycare centers and monetary support for grandmothers raising theirgrandchildre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grandmothersraising their grandchildren acts as an agent in creating well-being derived from voluntaryintentions, and not just passive beneficiary of polic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