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자료에 나타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 양상 분석
이용수 110
- 영문명
- Analysis of multimodal literacy practices appearing in presentation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Vietnam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Heo S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 18권 1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발표 자료를
통해 복합 양식 문식성을 어떻게 실행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은 호치민 소재 대학교 한국어학과 4학년 학생들로,
한국어 교수법 관련 수업 후 제출한 발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문자의 이미지화, 내용의 구조화,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 색을 사용한 내용의 구조화 등의 방식을 통해 복
합 양식 문식성을 실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교수자들이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익숙한 표현 방식을 활용하여 효과
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practice multimodal literacy through presentation
materia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urth-year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Ho Chi Minh City, and the
analysis focused on presentation materials submitted after a class on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were
practicing multimodal literacy through methods such as imaging letters,
structuring content, interacting between letters and images, and structuring
content using color.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instructors' cre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visual expression methods that are familiar to Vietnamese learn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