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Paren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Couples and Korean Coupl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2 No.1, 125~14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the paren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couples and Korean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6 multicultural fathers and mothers (28 couples) and 52 Korean fathers and mothers (26 cou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parental satisfac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couples and Korean couples is that the multicultural couples showed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parental role than the Korean couples. Seco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parental satisfac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couples, when self-paren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e multicultural fathers and moth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parent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Korean couples, when they had higher fair parental role model, the couples showed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lso, when self-paren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e coupl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parental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on parental satisfac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couples,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had no effects on parent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Korean couples,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had an effect on self-parental satisfaction and their spouse's parental satisfac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체계 분석:A마을활동가단체를 중심으로
- 시민사회기본법 30년 입법사 : 담론 변화, 반복된 실패, 그리고 전략적 재설계
-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