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비붐세대의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the Elderly and Their Level of Intimacy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세영(Se-Yeong Choi) 박주현(Joo-H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2 No.1, 101~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in relation to their image of the elderly, and whether the degree of intimacy plays a role in affecting their awareness. To collect the data, the author surveyed 243 people from the baby-boom generation who are living in either Gyeonggi, or Chungnam Province with a questionnaire that asked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their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eir level of intimacy, and their image of the elderly. To analyze the data, SPSS v.23 and AMOS v.21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vari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economic, emotional, and physical. First, when it comes to the economic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articipant's level of education, marriage status, and monthly income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when it comes to the emotional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both the participant's gender, and hometown location turned out to play a significant role. Third, the physical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marriage status, hometown location, and birth order were important. Meanwhile, the use of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higher intimac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 elevated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hich deal wit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are assumed to affect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can be critical in constituting a policy/law to support the elderly in our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