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 보조 재활훈련이 기능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8
- 영문명
- Effects of Robot-Assisted Rehabilitation Training on Functional Recover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저자명
- 임세린(Se-Rin Im) 오승준(Seung Jun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제16권 제1호, 53~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보행 능력 향상을 위해서 로봇을 이용한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다.
방법: BBS (Berg Balance Scale)를 이용하여 보행능력을평가하고 40점 이상인 그룹 HBBS (High score Berg Balance Scale)와 40점 미만인 LBBS (Low score Berg Balance Scale)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두 군 모두 로봇을이용한 보행훈련이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BBS (Berg Balance Scale), FMA (Fugl-Meyer Assessment), TIS (Trunk Impairment Scale), Zebris FDM-T Treadmill system을 이용한 Gait ability를 평가하였다. 40명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중재기간은 8주간 주3회 세션 당 25분씩 진행하고, 데이터로사용될 기준은 환자마다 최대 24세트 혹은 최소 20세트로하였다.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중재 후 그룹 간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의 비교 변화를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HBBS 및 LBBS 그룹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확인하였다(p<.05). 본 연구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을 위해 로봇재활훈련을 실시하였다. FAC 점수에 관계없이 BBS 점수로 그룹을 나누었는데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따라서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로봇 재활 훈련이 단순히 보행을 위한 훈련만이 아닌, 균형의 어려움을처음부터 갖는 뇌졸중환자에게 적용을 하는 것이 재활 프로그램으로써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raining on the balance and gait of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Forty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Berg Balance Scale (BBS) scores, with a cutoff of 40 points, which is considered an indicator of balance ability and fall risk. The two groups were the High Berg Balance Scale (HBBS) group with a score of 40 or higher and the Low Berg Balance Scale (LBBS) group with a score of 39 or lower.
Both groups were evaluat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BBS), Fugl-Meyer Assessment (FMA),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gait 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Zebris FDM-T Treadmill system. The intervention period was 8 weeks, with three sessions per week, each lasting 25 min. The training began with assisted gait, supporting 30-40% of the patient's weight, and gradually reducing support as the patient's condition improved.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BBS, FMA, TIS, and Gait a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to compare pre- and post-intervention scores within each group and independent t-tests to compare the changes in balance and gait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both HBBS and LBBS groups (p<.05).
This study suggests that robot-assisted rehabilitation training may be important for improving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regardless of their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score.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balance difficulties at the beginning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strok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고 찰
Ⅵ. 결 론
Ⅶ.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 3세 발달지연 아동의 조기 중재가 자세조절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 성인에서 실험적 눈가림이 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 보조 재활훈련이 기능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
- The Potential Impact of Body Awareness on Parkinson’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 ASD 아동의 구강 운동 문제와 섭식 구강 중재법
- 운동과 과제 기반의 동작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성인의 신체 인식 기능과 감각 처리에 관한 예비 연구
- 쓰기 전 활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소근육 및 시지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예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