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 Opportunity to Recoup Commercial Premium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전정표(Jung Pyo Jun) 이재목(Jae Mok Lee)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5卷 第1號,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November 2002 with the aim of protecting tenants so that they can promote stable economic life. By stipulating the premium, which was recognized only as a precedent on May 13, 2005, the opportunity to cash i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property values formed by the lessor or tenant through business was guaranteed. The protection of the opportunity to recover the premium of the tenant conflicts with the owner's exercise of property rights. It suggests a way to satisfy both the tenant and the lessor. Only the facility premium and the business premium should be owned by the lessee, and the location premium should be included in the rent. Limit the period of guaranteeing that the tenant can recover the premium to 10 years. Property that is not used for public purposes among state-owned and public property shall be property that, like other lessors, guarantees that the tenant can recover the premium. If the rent for three periods is overdue, the lessor may refuse to renew the contract. This principle applies only to the lease period including the overdue period, and if the contract period is extended in consultation with the lessor, let's prevent the lessor from rejecting the contract renewal due to overdue period.
It has already been 22 years since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was implemented, but the conflict continues due to the interests of the tenant and the lessor. Efforts to correct wrong practices through dialogue and compromise, understand the other party's position, and reach an agreement should continue.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상가권리금의 개념 및 입법과정
Ⅲ. 상가권리금 제도를 둘러싼 법적 쟁점과 과제
Ⅳ. 상가권리금제도의 입법적 개선 방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