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담자의 응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56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f Clients' Gaze Experience in Counseling Setting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미미(Mi-Mi LEE) 차명호(Myeong-Ho CHA)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2호, 297~32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 현장에서 상담자의 시선을 마주하는 내담자의 응시 경험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목적이다. 지극히 주관적이고 독특한 개인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질적 연구의 성격과 연구 논리로 현상학에 근거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간의 바라봄은 정의할 수 없는 그 무엇으로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고 구성되어 나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담자의 시선을 마주하는 내담자의 응시는 자신의 실재를탐색하기 위한 존재의 주체적 운동이었다. 상담자가 주관적인 그 무엇도 남기지 않고 존재를 바라볼때 내담자는 바라봄의 시선에 자신을 비추어 응시하며 지향성을 실행해 나감을 보여주었다. 더불어기능적, 과학적 경험의 밖에서 실재에 대해 직관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응시에 대한 본질적 경험의장을 확장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clients' gaze experiences when facing the gaze of counselors in counseling settings. Considering the nature and logic of the study topics, it is studied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of phenomenology to explore highly subjective and unique individual experiences. In this research it is showed that clients’ gaze consistently imbues meanings to it, continually build new constructs and reinterpret new meaning as something different. The act of clients facing the gaze of counselors was a subjective movement of a real self to explore their existence. When clients are gazed upon by counselors without leaving anything conditional behind, they engage in a directedness toward themselves by reflecting on their existence through the gaze of observation.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observe directly their realities out of functional and scientific frame of reference of their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정신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디지털 기기 및 제품의 사용과 관련된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자녀의 자살로 사별한 부모의 경험 과정
- 느린 학습자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인문치료 사례연구
-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아분화, 가족기능, 자아존중감, 심리적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내담자의 응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상담심리교육복지 11권2호 목차
- ADHD 아동의 부모상담에서 비효과적인 상담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노화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반추의 매개로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찰일지 평가법을 활용한 상담전공 학부생의 첫 상담실습 경험 분석
-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심리상담 분야의 연구 동향
-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우울의 관계
- 치유공간 이웃의 세월호 유가족 돌봄 시민활동가의 간접외상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 중국인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계
- 중국 대학생의 K-콘텐츠 인식이 한국에 대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삶의 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