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민국 핵무장 담론의 구성과 변화요인 분석: 구조토픽모델을 중심으로
이용수 1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auses of the Changes in the Nuclearization Discourse in the ROK with Structural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성관(Sung-kwan Kim) 황원준(Won-june Hwang)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1권 제1호(통권 제92호), 221~2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구조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언론 기사 텍스트 분석을 통해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민국 내 핵무장 담론의 구성을 탐구하며, 외부 위협·동맹·체제인식 변수의 핵무장 담론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외부 위협은 북한 핵실험으로, 동맹은 트럼프 행정부 기간으로, 적대적 체제인식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변수화하였다. 대한민국 내 핵무장 담론은 외부 위협, 동맹의 방기 위험, 적대적 체제인식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를 독자적 핵무장 담론과 핵공유를 통한 핵무장 담론으로 구분할 경우 그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 분석 결과, 독자적 핵무장 담론은 동맹 변수에 의해 증가하며, 다른 변수들에 의해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핵공유를 통한 핵무장 담론은 외부 위협 변수와 적대적 체제인식에 의해 증가하며, 동맹의 방기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uclearization discourse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based on text analysis of news articles from 2010 to 2023. The nuclearization discourse is influenced by three variables: external threat, risk of alliance abandonment, and hostile percep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 the ROK, the overall nuclearization discourse intensifies with the presence of all three variables. However, when the discourse is categorized into self-nuclearization and nuclearization by alliance, distinct patterns emerge. As a result, the self-nuclearization discourse is amplified solely by the risk of alliance abandonment and is diminished by the other two variables. Conversely, the discourse of nuclearization by alliance is bolstered by external threat and hostile international perceptions, whil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with the alliance variab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