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potential of LLM-based customized test item generators: Focusing on Poe AI as a chatbot builder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동광(Dongkwang Shi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3권 2호, 181~2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enhance prompt literacy among pre-service teachers by developing an automated test item generator using Poe AI, a free chatbot builder platform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s (LLM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84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24. The experiment lasted two hours, with one hour dedicated to training and practice in chatbot creation, followed by one hour dedicated to creating an item generator and participating in a survey. The pre-service teachers successfully created curriculum-based item generators. However, due to time constraints, they could only focus on one to four item types. The survey revealed that 90.5%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no prior experience in building a chatbot before the experiment. As a result, 65.5% found the process somewhat difficult, and 25.0% found writing prompts very difficult. Despite facing challenges, most feedback on the quality of the items generated by their programs was positive. Only 7.1% reported that the items were immediately usable, but 46.4% stated that the items could be used with minor modification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rompt literacy training for pre-service teachers. In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identified prompt literacy as a critical future core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AI-human collaboration.
목차
I. 서론 및 배경
II.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영어교사 요구 분석 기반ChatGPT API 수업 설계 컨설팅 도구 개발
- AI 번역기의 활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TPACK Designer Thinking 모형을 통한수능듣기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재구성
- 동료 피드백이 비판적 영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er development program.
- LLM 기반 맞춤형 자동문항생성기의 활용가능성 탐색
- 절대평가 도입 전후수능 영어 3점 문항 지문의 난이도 분석
- 직업계 고등학생의 영어 기초학력 진단 및보정을 위한 방안 탐색
- 동양 문화권 국가의 영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Developing a GPT-Based Chatbot Using Advanced Prompt Engineering for English Proficiency Level-Differentiated Reading Question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