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이민분야 이슈 분석
이용수 403
- 영문명
- Analysis of Issues in the Immigration Sector in Korea : Focusing on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황태연(Tae Yeon Hwang) 김화연(Hwa Yeo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8권 제3호, 13~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체류외국인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저출생·고령화와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이민정책이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향후 이주배경인구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이민분야 주요 이슈와 그 변화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GPT-4를 활용하여 단순 홍보나 정보전달성 기사를 제외하고 사회문제로서 ‘쟁점’을 포함하고 있는 기사만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5대 일간지의 기사에서 제기한 쟁점을 중심으로 토픽모델링을 실시하고 ‘차별과 혐오’,‘불체관리’,‘범죄피해’ 등 총 30개의 토픽을 도출하였다. 또한, Hot topic으로 ‘저출생·고령화’,‘인력난’,‘노동환경’, Cold Topic으로‘다문화가정’,‘서비스접근’,‘사회통합’ 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이민 분야의 주요 이슈가 다문화가정과 그들에 대한 지원에 중점을 두었던 것에서 최근 인구 관점에서 외국인 전체, 특히 외국인 노동력에 대한 관심으로 이슈가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Given the pressing issues of low birth rates, an aging population, and labor shortages, proactive immigration policies are increasingly demanded. It is anticipated that the population of immigrants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as a mean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jor issues in the immigration sector over the past decade. In particular, GPT-4 was used to analyze only articles containing “issues” as social problems, excluding simple promotional or information delivery articles. For this purpose,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key issue raised in articles from the five major daily newspapers. Through this analysis, a total of 30 top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discrimination and hate', 'managing illegal immigration', and 'victims of crime'. Hot topics such as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 'labor shortages', and 'labor conditions', as well as Cold Topics like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integration', and 'access to services',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 issues in the immigration sector, which previously focused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 for them, have recently shifted to a broader perspective on the entire foreign population, with particular emphasis on foreign labo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