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이 돌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10
- 영문명
- The Impacts of Nursing Student’s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Confidence on Caring Efficacy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박숙경(Sook K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8권 제3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돌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3년 11월 14일부터 23일까지 J 도에 위치한 3개 간호대학에서 3, 4학년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6.0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독립 t검정, ANOVA 및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5.15±0.61점,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5점 만점에 3.37±0.51점, 돌봄 효능감은 6점 만점에 4.17±0.58점으로 나타났다. 돌봄 효능감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에서, 종교(β=0.13, p=.037), 임상실습 만족(β=0.12, p=.024), 도덕적 민감성(β=0.19, p=.027),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β=0.6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6.8%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 도덕적 민감성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사례기반의 간호교육 및 간호윤리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level of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decision-making confidence among nursing students and their impact on the caring efficacy.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at three nursing colleges located in J Province from November 14 to 23, 2023.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26.0,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Nursing students' moral sensitivity was 5.15 ± 0.61 out of 7, ethical decision-making confidence was 3.37 ± 0.51 out of 5, and caring efficacy was 4.17 ± 0.58 out of 6. In an analysis to confirm the influencing factors of caring efficacy, religion (β=0.13, p=.037),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β=0.12, p=.024), moral sensitivity (β=0.19, p=.027), ethical decision-making confidence (β=0.60, p<.001) were confirmed as influential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6.8%. Therefore,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aring efficacy, it is essential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mprove their moral sensitivity and boost their ethical decisions making confidenc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