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저장행위에 대한 메타리뷰: 개입과 영향요인
이용수 47
- 영문명
- A Meta-Review on Hoarding in Older Adults : Interven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이준엽(Joon-yup Lee) 이미진(Mi-jin Lee) 양호정(Ho-jung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1호, 27~6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수행된 국외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대한 메타리뷰를 통해 저장행위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 기술과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기존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는 연구방법인 메타리뷰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세 가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PubMed, SCOPUS, Web of Science)에서 다음의 키워드를 통해 문헌을 검색하였다: “hoarding” OR “self-neglect” OR “squalor” AND “older adults” AND “systematic review.” 연구 결과는이야기 통합법을 통해 도출되었다.
최초 검색을 통해 총 102편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별 과정을 거쳐 최종 네 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장행위에 대한 효과적 개입방법은 인지행동치료로 나타났다. 개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1) 매뉴얼을 따르는 인지행동치료; 2)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3) 개별 및 집단 치료, 치료회기, 가정방문 횟수; 4) 약물치료였다. 반면 개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적은 표본 수; 2) 높은중도 탈락률; 3) 개입의 초점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실천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적 실천 방법과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개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줄이기 위한 방안과실천가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구축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practical method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intervening in hoarding behavior. To achieve this, a meta-review was conducted. A meta-review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summarizes and presents findings from existing systematic reviews. An electronic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using the following search phrase: “hoarding” OR “self-neglect” OR “squalor” AND “older adults” AND “systematic review.” A narrative synthe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tions and influncing factors.
The initial search yielded 102 studies. After the screening processes, four studies were eligible for review.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gnitive-behavioral therapy emerg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hoarding behavior. From the data synthesis, four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rvention emerged: 1) adherence to manualiz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3) individual and group therapy, treatment duration, and frequency of home visits; and 4) pharmacological treatment. Conversely,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intervention included: 1) a small sample size; 2) higher dropout rates; and 3) a lack of focus on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and implications applicable in social work settings. Also, it proposes strategies to mitigate factors that negatively impact interventions and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to enhance practitioners’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