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Digital Healthcare Act: Focusing on the Healthcare Data Regulatory Environments of South Korea and Finland
- 발행기관
- 한국사회약학회 (구.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 저자명
- 박우민(Woomin Park) 이수빈(Suebin Lee) 최승민(Seungmin Choi) 한진서(Jinseo Han) 홍송희(Song-Hee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약학회지』제12권 제1호, 34~4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S The efficacy of digital healthcare, which harnesses ICT for personalized medical services, hinges on the balanced regulatory design for utilizing real-world data. South Korea aims to enhance healthcare data utilization through the Digital Healthcare Act, amidst legal constraint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South Korea’s Data 3 Laws and Finland’s healthcare data legislation. RESULTS The pre-proposal legal environment faced challenges, lacking clarity on healthcare data definition, consent, and third-party rights. The Digital Healthcare Act addressed some issues but didn’t alter the consent system. By benchmarking Finland’s practices, it suggests improvements for Korea’s legislation, emphasizing clear data ownership and a comprehensive consent system. CONCLUSIONS This study benchmarks Finland to recommend policy changes for Korea’s Digital Healthcare Act, aiming to address legal issues and improve healthcare data utilization, acknowledg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ealthcare environment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