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통일기 신라군의 행군편성 구조

이용수  15

영문명
System of Army Organization in Silla During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이상훈(Sanghun Yi)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30집, 123~1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7세기 신라는 대규모 행군을 편성했다. 당시 신라는 대규모 행군 편성시 5만여 명까지 동원하였다. 그리고 행군은 좌군, 우군, 중군 3군으로 편성하여 운용하였다. 661년과 668년 신라의 고구려 공격시 행군 편성 상황이 사서에 전하고 있다. 661년과 668년의 변화 상황을 살펴보면 대당·상주·하주 군단은 대당 군단으로 편제되었고, 서당·낭당 군단은 서당 군단으로 편제되었다. 특히 668년에는 경정 군단과 비열도 군단이 새롭게 신설되어 그 규모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7세기 신라는 다른 시기와 달리 다양한 관등에서 지휘관을 임명하였고, 선발대를 따로 운용하였다. 또 부대의 ‘모듈화’를 진행하여 당군과 연합작전에 용이하게끔 만들었다. 삼국통일기 신라는 당의 행군제도를 도입하였지만, 행군명이나 총관명을 통해 볼 때 신라식으로 변용하여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Silla organized large-scale military in the 7th century. Silla rallied even about 50,000 people then. Military were organized by the left army(左軍), the right army(右軍) and the inside army(中軍) armed forces. Silla appointed a commander from various positions in the 7th century. An advance party(先發隊) was used separately. Modularizing of military was advanced. Silla introduced a system of military in the Tang(唐). But Silla changed by Silla's system.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군의 규모와 체제
Ⅲ. 신라군의 행군 평제
Ⅳ. 신라군의 행군 운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훈(Sanghun Yi). (2018).삼국통일기 신라군의 행군편성 구조. 한국고대사탐구, (), 123-150

MLA

이상훈(Sanghun Yi). "삼국통일기 신라군의 행군편성 구조." 한국고대사탐구, (2018): 12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