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사용 어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2
- 영문명
- A study on the vocabulary used by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정주(Jung-J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1호, 103~1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연구 목적은 대학생의 글을 계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어휘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본고의 분석대상은 2023년 2학기에 제출한 대학생 101명의 글 194편이었다. 분석 결과 개별 어휘 10,135개, 전체 어휘 80,732개이었다.
대학생의 사용 어휘 중 고빈도어 상위 100개는 기초 어휘적인 성격이 있어서, 비교 대상이 된 세 조사의 결과와 대동소이함을 확인하였다. 대학생 어휘를 세 가지 의미군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인칭’관련 어휘는 ‘1인칭’어휘가 가장 많이 쓰여,‘나먼저 원리’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시어 및 접속어’는 글의 응집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는데,‘대학생 어휘’에서 ‘지시어’는 전체 어휘에서 2.7%, 접속어는 0.6%가 사용되었다. ‘지시어 및 접속어’의 이런 사용이 학생 글의 응집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여가 생활’과 관련된 어휘는 전체 어휘 대비 2.4%의 비율로 사용되었는데, 현세대 학생들의 성장 배경이 반영된 어휘들이 고빈도로 등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교수자들이 학생들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며, 학생들과 상담을 할 때 대화의 소재가 될 수 있고, 토론을 할 때 토론의 주제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가 갖는 한계점은 본고의 분석 결과가 전 대학생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런 한계는 어휘 계량 연구가 갖는 필연적 한계라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used by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ir writing using quantitative methods. The subject of analysis is 194 essays written by 101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10,135 individual vocabularies and 80,732 total vocabularies.
The top 100 high-frequency words among college students' vocabulary were largely the same as the results of the three surveys compared. As a result of classifying college student vocabulary according to three meaning groups, ‘first person’ vocabulary was used the most when it came to ‘person’-related vocabulary. ‘Indicative words and connecting words’ were used at 2.7% and 0.6%, respectively, and were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cohesion of the writing. Vocabulary related to ‘leisure life’ was used at a rate of 2.4% of the total vocabulary, and it was confirmed that vocabulary reflecting the growth background of current generation students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will help instructors understand their students. A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s analysis results do not apply to all college students. However, this limitation is seen as an inevitable limitation of vocabulary measurement research.
목차
1. 서론
2. 자료 처리 기준
3. 고빈도어
4. 어휘 분류에 의한 대학생 어휘의 특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어문학 > 문학분야 NEW
- The Impact of Cross-National Distance on Chinese Firms’ Ownership Choice in Cross-Border Mergers and Acquisitions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