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Birthday Party와 King Lear의 상호텍스트성
이용수 4
- 영문명
- The Intertextual Reading of The Birthday Party and King Lear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全善玉(Sun-oak Chu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3호, 140~15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the intertextual reading of The Birthday Party and King Lear. Harold Pinter, our contemporary playwright, i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absurd dramatists or postmodern literary artists. Actually his plays deal with essentially absurd human conditions on the basis of existential thought of our time. Shakespeare, the literary genius of the sixteenth century, is the great and distant ancestor of Harold Pinter. Shakespeare's characters, however, are so vivid even in this time that we think of them as detachable from the play, like real people. It means that there are fundamental theme and situation about our mankind presented by the maestro, that are not so changed according to the age.
In this study, intertextuality of those two plays by the two playwrights is read in terms of their languages, dramatic situation of menace, and the motif of disabilities such as madness, aphasia, and blindness. In The Birthday Party, the human condition of menace is delivered through the shift of strength revealed in the dialogue of the characters. The language of Goldberg and McCann is full of verbal strategies to make Stanley give in, and we see Stanley become unable to see and articulate as the play goes on. Stanley's aphasia and blindness is in fact the representation of his state of absolute subservience. Shakespearean language in King Lear also contributes to survey the unbalance of power among characters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dramatic situation. Interpreting Shakespeare's dialogue, the audience appreciate the rise of victor and the fall of victim, the result of which is blindness and death, although the surface meaning of the language may not be as logical and grammatical as we expect language to be, as in the case of Pinter.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과대학에서의 전공 영어 강의의 효과
-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발음지도 방법
- 중등영어교육의 실태와 효율적인 영어교육 개선방안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무의미 영어 명사에 대한 강세 판단
- The Successful Factors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 The Birthday Party와 King Lear의 상호텍스트성
- 원어민보조학습이 초등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 영미시 수업에서의 영어교육
- 영어교육연구 제33호 목차
- Error Analysis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