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대학생이 지각하는 온라인 수업 장점,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도전적 학습경험, 역량 향상 인식 및 기대 간의 관계
이용수 149
- 영문명
-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nline Class Advantages,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Challenging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ived Competency Gains and Expectations in an Onlin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 저자명
- 홍효정(Hong, Hyo-jeong) 이영(Lee, Y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8권 제1호, 59~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교수-학습경험을 토대로 대학생이 지각하는 온라인 수업 장점,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도전적 학습경험, 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소재 A대학 재학생 634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K-NASEL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역량 향상 인식과 역량 향상 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의 장점 인식이 도전적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전적 학습경험이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역량 향상 인식, 교수와의 상호작용과 역량 향상 기대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전적 학습경험이 온라인 수업의 장점 인식과 역량 향상 인식, 온라인 수업 장점 인식과 역량 향상 기대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량 향상 인식이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역량 향상 기대, 온라인 수업 장점 인식과 역량 향상 기대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수업이 안정적으로 확장되기 위해 상호작용의 구체적인 방법과 전략 제시, 구체적인 학습가이드 개발과 활용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conducted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online cla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with the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 and the expected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affects the challenging learning exper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hallenging learning experience mediates the content of interaction with the professor and the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the content of interaction with the professor, and the expected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hallenging learning experience mediates the recognition of the merits of online classes and the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the recognition of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and the expectation of capacity improve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mediates the content of interaction with professors, the expected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 the challenging learning experience, and the expected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deriving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