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죽음불안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이용수 475
- 영문명
-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n Disordered Eating: Considering the Moderating Role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우제(Woo-Je LEE) 김창대(Chang-Dai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1호, 265~2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적인 마른 체형의 내면화를 조절변인으로 포함한 후 죽음불안이 이상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이상섭식행동의 내적 기제를 설명하는 것에 있다. 서
울 및 경기 소재 대학교 179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죽음불안, 이상섭식행동,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기법을 사용해 해당 자
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죽음불안
과 이상섭식행동의 정적인 관련성은 커졌다. 또한 죽음불안은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못했으며,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는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쳤다. 위
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disordered eating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among Korean female undergraduates. Through an online survey,
179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death anxiety, disordered
eating, and thin-ideal internaliz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n-ideal internaliz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In
particular,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got bigger when
thin-ideal internalization increased. Second, death anxie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isordered eating. Third, thin-ideal internaliz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disordered
eat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1권1호 목차
- 중등교사의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죽음불안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 청년의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알코올 의존의 조절 매개효과
- 마약중독자의 부도덕적 성관념과 약물심각도 관계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다문화 상담 경험이 다문화 상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실재감, 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완벽주의 대학생의 심리적 유연성 증진을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의미
- 청소년동반자의 문화다양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회복지사의 조직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다차매개효과
- 그림책 독서치료가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의 경험
- 친구의 자살위기를 경험한 대학생들의 게이트키퍼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인식
- 외국인근로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