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item type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원경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1호, 69~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English test item type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re-categori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newly released English curriculum is considered unconventional as it
reclassifies the content domain into two categories: reception and production. It
also introduces two new elements, viewing and presenting, within each category.
These changes of the new curriculum naturally call for developing corresponding
test items to properly measur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analysis of
available NAEA test sets reveals that the test items can be further subcategorized
based on a more rigorously applied divis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modes.
It suggests that English test items in the NAEA should be developed to more
accurately measure each communication skill and mode under the new English
curriculum. Additionally, it recommends that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not only the NAEA but also performance
test methods to better evaluat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in classroom-based
assessments.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 분석
- 장르별 그림책 활용 영어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역량 양상
- A textbook task analysis based on the CEFR mediation scale of basic user
- 조기영어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연구
- Voice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with study abroad experience and their parents: A language socialization approach to public school English classes
- 온라인 영어교육 수업에서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