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 분석

이용수  178

영문명
An analysis of item type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저자명
최원경
간행물 정보
『초등영어교육』제30권 1호, 69~8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English test item type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re-categori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newly released English curriculum is considered unconventional as it reclassifies the content domain into two categories: reception and production. It also introduces two new elements, viewing and presenting, within each category. These changes of the new curriculum naturally call for developing corresponding test items to properly measur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analysis of available NAEA test sets reveals that the test items can be further subcategorized based on a more rigorously applied divis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modes. It suggests that English test items in the NAEA should be developed to more accurately measure each communication skill and mode under the new English curriculum. Additionally, it recommends that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not only the NAEA but also performance test methods to better evaluat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in classroom-based assessments.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경. (2024).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 분석. 초등영어교육, 30 (1), 69-89

MLA

최원경.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 분석." 초등영어교육, 30.1(2024): 69-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