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서연 배지영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1호, 47~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nglish learning among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639 students, with parental consent,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earch found that 79.9% (511 students) had
experienced early English education, with the initiation timing split between
pre-elementary (246 students) and early elementary grades 1-2 (265 students).
Utiliz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previous studies and adjusted for this
research, the study measure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efficacy,
anxiety, interest, motivation and attitud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English, across 40 ite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udents with early English
education displayed more positive perceptions across all measured affective
domains, particularly in self-efficacy. Anxiety was also significantly impacted,
highlighting the need for strategies to manage students’ anxiety levels and foster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Moreover, students who began English education
in pre-elementary stages showed higher scores in self-efficacy, interest, motivation
and attitud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English, underscoring the
benefits of early English learning initiat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t
role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developing pos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s English learning.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 분석
- 장르별 그림책 활용 영어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역량 양상
- A textbook task analysis based on the CEFR mediation scale of basic user
- 조기영어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연구
- Voice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with study abroad experience and their parents: A language socialization approach to public school English classes
- 온라인 영어교육 수업에서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