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ypology of International Politics for New Cold War: Tracing the Relevance of Middle Power Diplomacy and South Korea’s International Politics Based on Advanced Strong Power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 저자명
- 반길주(Ban, Kil Joo)
- 간행물 정보
- 『국가와 정치』제30집 1호, 1~3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냉전기 도드라진 특징 중 하나는 중견국으로 분류되었던 국가들이 기존과는 다른방식으로 연대를 강화하고 국제질서 유지에 관여 수준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중견국 외교 담론이 아직도 적실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 모색의 일환으로 물질적 변수와 가치융합 변수를 이용해 신냉전 시대 국제정치 유형학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두 가지 변수로 나올 수 있는 9개 국가유형 중 신냉전 시대에는 기존 중견국을 선진강국으로 재분류하는 것이 적실성이 있음을 추적한다. 아울러 선진강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다섯 가지 요소 - 국제정세 인식, 행태, 가치외교, 선호 플랫폼, 연합형성 대상 - 로 제시한다. 이 요소를 기반으로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선진강국 정치를 먼저 가동시킨 국가들의 사례를 살펴본 후 윤석열정부에 가동되는 선진강국 정치를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행태 지속가능성, 중견국 연구 확장성이라는 학문적 통찰과 선진강국에 차별화된 정책 구체화, 기여외교· 연대형성 대상 확대 필요성, 보편적 가치 중시 일관성 유지 등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States, formerly classified as a middle power, have stepped up the level to engage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preserve international order by strengthening solidarity. If then, is the discourse of middle-power diplomacy still relevant? This paper proposes the typology of international politics for the New Cold War by linking a materialistic variable with a value-fusion variable in an effort to answer this puzzle. As this framework lays out nine types of states, the need to reclassify middle power to advanced strong power is observed analytically. Meanwhile, it comes up with five factor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situations, behavior, preferred platform, and scope of combined formation.
Two cases are examined with these five factors: Canada, Australia, and Japan as the first case and South Korea as the second case.
Finally, this paper provides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Academically, it sheds some light on the sustainability of this behavior and the scholarly expansion of middle-power diplomacy.
It also suggests required policies such as tailored policies for advanced strong power, the expansion of South Korea's contributionled diplomacy and solidarity formation and the sustainability of universal value.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분석의 틀
III. 캐나다, 호주, 일본의 선진강국 정치
IV. 한국의 선진강국 정치
V. 결론: 학문적,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