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ialectic of Representation and De-Representation in Aesthetics of Tsai Ming Liang's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대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3호, 339~37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1. 불쾌의 쾌; 숭고의 미학
2. 차이밍량 영화의 통합적 전략
3. 차이밍량 영화 미학의 자기 반영성
4. 거대한 통합 체계 속의 미장아빔
5. 억압된 것들의 귀환; 재현과 환상성의 결합
6. 재현과 상대적 인식론 교직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디지털 영화의 대학 영화교육 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정치권력의 변화와 영화, 해빙기의 소비에트 영화(1956~1966)
- 1930년대 로칼 칼라 담론 연구
- 차이밍량 영화 미학의 재현과 탈재현의 변증법
- 19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직접서술의 양상
- 거짓말/방문/가출이라는 북한영화의 내러티브 반복과 연기/침입/일탈이라는 북한여성의 자아 정체성 재현
- 특집 1. 1960년대 한국영화
- 특집 2. 북한 및 소비에트 영화
- 한국 기획영화에 관한 연구
- 미시, 거시 영화텍스트 분석의 통합가능성 연구
- 민족주의 수사학으로서의 디지털 특수효과에 대한 연구
- 1960년대 한국 전쟁 멜로드라마의 욕망과 좌절
- 종파분쟁기 북한영화 연구
- 1960년대 스릴러 영화의 양상과 현실인식
- 영화에서의 매너리즘 사례 연구
- FTA와 스크린쿼터 그리고 대중문화정치
- <우작> 속의 '봉인된 시간'
- <미몽>, <반도의 봄>의 영화 스타일 분석
- 1960년대 한국영화와 ‘근대적 국민’ 형성과정
- <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