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nges of Political Power and Cinema: Soviet Cinema during the Khrushchev Thaw(1956~1966)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태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3호, 201~2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trends of films during the Khrushchev Thaw and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political power and emerge of a new method of film creation. In the history of Soviet cinema, the Khrushchev Thaw means its critical and methodological changes carried by the films produced from 1956 to 1966. The political change of the Khrushchev Thaw did not emerge until Khrushchev became first secretary of the Central Committee and denounced Stalin's brutal despotism in his famous “secret speech” before the Twentieth Party Congress in February 1956. Khrushchev's changes against his former boss ranged from self-glorification to political mass murder, and he roundly indicted Stalin's promulgation of a “cult of personality”.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Khrushchev's de-stalinization had a huge impact on artists. Khrushchev emphasized the return to Marxism and Leninism. It concludes that in the cinema during Khrushchev Thaw there appeared a lot of film describing Lenin's life and activities and characters embodying Marxism-Leninism.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at films in those days emphasized an individual and reality in one's life. These new methods of film-creation during Khrushchev Thaw was a result of in-depth examination and description on an individual and reality which was repressed in Stalin regime.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 that political changes carried by de-stalinization process caused the emergence of new methods of film-creation during Khrushchev Thaw.
목차
1. 흐루쇼프의 20차 전당대회
2.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미학적 법칙의 변화
3. 해빙기의 소비에트 영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디지털 영화의 대학 영화교육 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정치권력의 변화와 영화, 해빙기의 소비에트 영화(1956~1966)
- 1930년대 로칼 칼라 담론 연구
- 차이밍량 영화 미학의 재현과 탈재현의 변증법
- 19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직접서술의 양상
- 거짓말/방문/가출이라는 북한영화의 내러티브 반복과 연기/침입/일탈이라는 북한여성의 자아 정체성 재현
- 특집 1. 1960년대 한국영화
- 특집 2. 북한 및 소비에트 영화
- 한국 기획영화에 관한 연구
- 미시, 거시 영화텍스트 분석의 통합가능성 연구
- 민족주의 수사학으로서의 디지털 특수효과에 대한 연구
- 1960년대 한국 전쟁 멜로드라마의 욕망과 좌절
- 종파분쟁기 북한영화 연구
- 1960년대 스릴러 영화의 양상과 현실인식
- 영화에서의 매너리즘 사례 연구
- FTA와 스크린쿼터 그리고 대중문화정치
- <우작> 속의 '봉인된 시간'
- <미몽>, <반도의 봄>의 영화 스타일 분석
- 1960년대 한국영화와 ‘근대적 국민’ 형성과정
- <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