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igital Technology as Rhetoric of Nationalism: Focused on contemporary korean cinem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재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3호, 315~33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digital technology articulate national identity. The current rush to digital technologies is very general phenomenon in the field of cinema. Especially in Korean cinema, emergence of digital image is a result of change of film industry and has also something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special effects in korean blockbuster films. Because blockbusters, which emphasizes spectacles, has played a catalyst for improving digital special effects technology. But the uniqueness of digital technology of korean cinema is the connection to nationalit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tried to focus two aspect. Firstly, technology is related to desire of nation and recent enthusiasm for digital technology is expression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Secondly more important is the rhetoric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building in national identity. Welcome To Dongmakgol(2005), Heaven's Soldiers(2005) are the examples of the use of digital special effect as rhetoric of nationalism. In these film, computer graphic image is very attractive. With accelerating convergence of national history and slow motion aesthetics, digital special effects are reaching a new high in terms of national sublime. By visualizing imaginary and attractive images with computer graphics(CG) effects these films attach a new meaning to reality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aspects of national power, secret and energy. In recent Korean films, Digital technology have twofold face. One hand it is used to enhance the scale of Korean film, the other hand is used to provide possibility of building of korean national identity. But it is also symptom of historical complex connected to modernization.
목차
1. 시작하며
2. 민족적 욕망으로서의 테크놀로지
3. 〈웰컴 투 동막골〉: 진정성의 기표로서 디지털 이미지
4. 〈2009 로스트 메모리즈〉, 〈천군〉: 디지털 스펙터클과 민족
5.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디지털 영화의 대학 영화교육 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정치권력의 변화와 영화, 해빙기의 소비에트 영화(1956~1966)
- 1930년대 로칼 칼라 담론 연구
- 차이밍량 영화 미학의 재현과 탈재현의 변증법
- 19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직접서술의 양상
- 거짓말/방문/가출이라는 북한영화의 내러티브 반복과 연기/침입/일탈이라는 북한여성의 자아 정체성 재현
- 특집 1. 1960년대 한국영화
- 특집 2. 북한 및 소비에트 영화
- 한국 기획영화에 관한 연구
- 미시, 거시 영화텍스트 분석의 통합가능성 연구
- 민족주의 수사학으로서의 디지털 특수효과에 대한 연구
- 1960년대 한국 전쟁 멜로드라마의 욕망과 좌절
- 종파분쟁기 북한영화 연구
- 1960년대 스릴러 영화의 양상과 현실인식
- 영화에서의 매너리즘 사례 연구
- FTA와 스크린쿼터 그리고 대중문화정치
- <우작> 속의 '봉인된 시간'
- <미몽>, <반도의 봄>의 영화 스타일 분석
- 1960년대 한국영화와 ‘근대적 국민’ 형성과정
- <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